“준대형 연비가 18km/L”…동창회 끌고가면 “성공했네” 소리듣던 차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국산 고급차의 대명사로 불리던 현대자동차 그랜저가 대중적인 선택지로 완전히 자리 잡으며 새로운 전성기를 맞고 있다.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지난 1년간(2024년 8월~2025년 8월) 그랜저의 월평균 판매량은 약 5700대로 같은 기간 아반떼나 쏘나타보다 많은 수치를 기록했고 2024년 10월과 12월에는 각각 7000대를 넘기며 흥행세를 이어갔다. 

한때 상징이었던 프리미엄 세단의 이미지가 실용성과 합리성을 겸비한 국민 준대형 세단으로 완전히 바뀐 셈이다.

이 같은 변화의 중심에는 상품성 개선이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의 성공이 그랜저의 재도약을 견인했다. 

1.6리터 터보 엔진과 전기모터를 결합한 시스템은 230마력의 합산 출력을 내며 복합연비 18km/L를 달성했다.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도심 주행에서는 18km/L, 고속도로에서는 17.9km/L를 보여 장거리 이동 시에도 연료 효율이 확실히 체감된다.

일반 가솔린 모델의 7.8~11.7km/L 연비와 비교하면 그 차이는 뚜렷하다. 

가격은 4354만원~5393만원으로 하이브리드 특성상 약간 높지만 연료비 절감 효과까지 감안하면 실질적인 유지비는 오히려 낮다.

차체 크기는 전장 5035mm, 전폭 1880mm, 축거 2895mm로 준대형 세단 중에서도 존재감이 크다. 

전면부는 수평형 램프와 삼각 패턴 그릴이 조화를 이루며 현대차의 최신 디자인 언어를 보여준다. 

일부 소비자는 다소 미래적인 이미지를 로보캅 같다고 표현하지만 실물에서는 단단하고 세련된 인상을 준다.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와 플러시 타입 도어핸들은 고급스러움을 더한다. 전체적인 라인 처리도 매끈해졌고 마감 품질이 개선돼 세단 특유의 정제된 분위기를 완성했다.

실내는 넓고 조용하다. 뒷좌석은 레그룸과 헤드룸이 여유롭고 열선 시트와 송풍구, USB 포트 등 편의 장비가 충실해 장거리 이동에서도 피로감이 적다. 패밀리 세단으로서의 조건을 충분히 갖췄다.

운전석에는 12.3인치 통합 디스플레이가 배치돼 있고, 주요 기능은 물리 버튼으로 남겨 조작 직관성을 높였다. 음성인식 내비게이션과 차량 제어 기능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그랜저. [사진=현대자동차]

2.5리터 자연흡기 엔진은 0~100km/h 가속을 약 8초대에 마치며 일상 주행에는 충분한 성능을 낸다. 다만 조향 반응과 고속 안정감은 여전히 유럽 세단과 비교하면 보수적인 편이다.

서스펜션은 슈퍼 컴포트 콘셉트로 세팅돼 승차감 중심의 밸런스를 구현했다. 저속에서는 약간 단단하지만 속도가 올라갈수록 부드러워지는 세밀한 감각을 보여준다.

현대차는 내년 상반기 그랜저 부분변경 모델을 공개할 예정이다. 디자인과 주행 세팅이 개선될 것으로 알려져 상품성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