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볍게 넘긴 머리 부상, 뇌 손상 부를 수도


두부 외상은 충격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양상이 다르다.  [출처: Gettyimagesbank]

두부 외상은 충격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양상이 다르다. [출처: Gettyimagesbank]


두부 외상은 일상에서 흔히 발생한다. 누구나 교통사고, 낙상, 폭행 등 물리력에 의해 머리를 부딪히는 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 이땐 겉으로 보이는 상처보다 뇌에 가해지는 충격이 더 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 않거나 스스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중증외상 환자 중 두부 손상이 발생한 비율은 42.2%로 가장 높았다. 치명률은 45.8%에 달했다. 입원 원인으로는 추락·낙상(56.1%)과 운수사고(33.6%)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최근에는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장치 사용이 늘면서 젊은 연령층 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조경근 한양대 교육협력병원 센트럴병원장(뇌센터장)은 “두부 외상은 초기 증상이 경미해도 서서히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며 “머리를 다쳤을 땐 반드시 전문 의료진의 진료와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중증외상 환자 절반 두부 손상 발생


두부 외상은 충격의 세기나 방향에 따라 양상이 다르다. 단순 타박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외상까지 폭이 넓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와 대응이 필요하다. 가장 흔한 형태는 두피 손상이다. 외부 충격으로 인해 머리 부위에 멍, 혹, 찢어짐 등이 생긴 경우다. 두피는 혈관이 풍부해 출혈이 쉽게 나지만, 표면 손상에 그치면 생명엔 지장을 주지 않는다. 다만 출혈이 계속되거나 상처가 깊으면 봉합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뇌진탕은 두개골 안에서 뇌가 흔들리며 일시적인 기능 저하가 일어나는 상태다. 외관상 특별한 상처가 없어도 위험할 수 있다. 두통, 어지럼증, 메스꺼움, 기억혼란 등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대부분은 안정을 취하면 회복된다. 두개골 골절은 강한 충격에서 발생한다. 특히 사고 이후 귀·코에서 피나 맑은 액체가 흐르면 두개골 기저부 골절을 의심해야 한다. 


가장 심각한 건 뇌출혈이다. 뇌조직이나 뇌막 사이에서 출혈이 생기는 상태다. 뇌출혈일 땐 뇌압 상승으로 의식 저하, 시야 이상, 마비, 발작, 혼수상태 등 증상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특히 경막외출혈은 초기엔 의식이 또렷하다가 갑자기 혼수상태로 악화할 수 있어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 


구토·두통·시야 이상 나타나면 즉시 병원으로


머리를 다쳤다면 병원을 찾는 게 원칙이다. 증상이 없더라도 가능한 빨리 진료를 받아야 한다. 사고 현장에선 환자의 의식 상태를 먼저 확인하고, 반응이 없으면 즉시 119에 신고한다. 억지로 일으키거나 움직여선 안 된다. 자각 증상이 없어도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최소 24~48시간은 경과를 면밀히 살핀다. 


중증외상을 의심해야 하는 증상은 이렇다. ▶반복되는 구토, 심해지는 두통 ▶의식저하, 멍한 반응 ▶말이 어눌해지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 ▶팔다리의 마비 또는 감각 이상 ▶경련이나 발작 ▶귀·코에서 피나 맑은 액체가 흐르는 경우 등이다. 


두부 외상은 누구나 겪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전거, 전동킥보드, 오토바이 등 이동수단을 이용할 땐 반드시 보호장비를 올바르게 착용한다. 어린이가 활동하는 공간에는 충격 완화 매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령자는 낙상 예방에 힘써야 한다. 욕실이나 계단처럼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에는 미끄럼 방지 장치를 설치해 사고 위험을 줄인다. 


조 병원장은 “고령자와 영유아는 증상 표현이 어려워 더욱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며 “사고 후 적어도 하루이틀은 집중 관찰하고, 두통·구토· 의식 변화 등 이상 신호가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영경 기자 shin.youngkyu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