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주름은 보여도 뼈가 노화하는건 티가 안난다. 뼈 속에서는 매일 미세한 균열과 재생이 반복되는데 이 균형이 깨지면 약해지기 시작한다. 그러다 한계점에 다다르면 어느 날 갑자기 넘어지지도 않았는데 갈비뼈가 부러지고 키가 줄거나 허리가 굽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골다공증을 침묵의 팬데믹(Silent Pandemic)이라고 부른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수백만 명이 골다공증성 골절로 일상과 독립을 잃는다. 10월 20일은 ‘세계 골다공증의 날(World Osteoporosis Day)’의 날이다.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방청원 교수의 도움말로 골다공증에 관한 핵심 정보 세가지를 정리했다.
1. 발견 늦으면 골절로 이어져
골다공증은 뼈의 양과 질이 모두 줄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러지는 질환이다. 초기에 통증이나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 뒤늦게 척추나 고관절 골절로 발견된다. 척추가 부러지면 키가 줄거나 허리가 굽는다. 고관절 골절은 수술·재활이 필요해 일상 복귀가 어렵다. 장기 침상 생활로 인한 폐렴·혈전증 같은 합병증 위험도 커진다.
방청원 교수는 “고령자는 가벼운 충격이나 기침만으로도 골절이 생길 수 있다”며 “증상이 없어도 조기 검진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2. 여성·고령층, 정기 골밀도 검사 필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골다공증 환자는 2020년 105만명에서 2024년 132만명으로 늘었다. 이중 94%가 여성이다. 폐경 후 여성호르몬 감소로 뼈가 약해지는 것이 주 원인이다.
진단은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DXA)으로 골밀도를 측정한다. 폐경 여성과 65세 이상 고령자는 정기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치료는 뼈 흡수를 억제하거나 생성을 촉진하는 약물을 사용한다 .경구제·주사제·장기 지속형 제제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방 교수는 “치료를 중단하면 골밀도가 다시 떨어지므로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3. 칼슘·비타민 D·운동 3박자로 예방
뼈 건강의 기본은 칼슘과 비타민D 섭취, 꾸준한 운동이다. 칼슘은 우유·치즈·멸치 등에 풍부하다. 비타민D는 햇빛을 쐬고 연어·계란노른자 등을 챙겨먹으면 된다. 부족하면 보충제를 활용한다.
운동은 걷기·계단 오르기 같은 체중 부하 운동과 스쿼트·팔굽혀펴기 같은 근력운동이 좋다. 낙상 방지를 위해 집안 조명·바닥 정리, 시력·청력 관리도 필요하다.
방 교수는 “골다공증은 뼈만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질 전반을 좌우하는 질환”이라며 “생활습관 관리와 정기 검진이 최선의 예방책”이라고 말했다.
-증상 없어도 골밀도 검사 필수
-약물치료는 꾸준히
-칼슘·비타민 D·운동으로 뼈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