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11:24:05
경기 광명시가 ‘사람이 머물고 상권이 살아나는 도시’ 조성을 목표로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상권 활성화에 속도를 낸다. 홍명희 시 경제문화국장은 12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민생경제 및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 브리핑을 열고 주요 추진 현황과 계획을 밝혔다.
지난 1월 시는 광명사랑화폐 10만원씩을 모든 시민에게 지급하는 260억원 규모 민생안정지원금을 집행했다.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광명과 파주시만 시행한 이 정책은 신청률 93.4%, 사용률 98.9%를 기록하며 민생 소비를 견인했다. 정부의 전 국민 소비쿠폰 지급에 맞춰 TF팀과 콜센터를 운영, 지급률 96.4%로 경기도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소비쿠폰의 54%를 지역화폐로 지급해 지역 내 소비 정착 효과를 입증했다.
광명사랑화폐 정책은 2025년 발행 목표를 12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4배 확대하며 한층 강화된다. 시는 7월부터 월 인센티브 구매 한도를 30만원에서 70만원으로 상향했고, 추석에는 한시적 인센티브 추가 확대를 검토 중이다. 할인율은 연중 10%를 유지한다.
지역상권 회복도 본격화한다. 2019년 ‘소상공인 지원 조례’ 제정과 2020년 ‘광명시자영업지원센터’ 설립으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시는 현재 20개 상인회를 지원 중이다. 골목상권 공동체 지원 예산은 2020년 1억5000만원에서 올해 10억1000만원으로 늘었고, ‘상인회총연합회’·’소상공인연합회’ 출범으로 조직 결속력도 강화됐다.
소상공인 금융·디지털 지원을 위해 시는 ‘스마트상점 기술 보급 사업’ 자부담 지원, 특례보증·이차보전, 경영환경 개선, 마케팅·컨설팅, 노란우산공제 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 중이다. 내년 1월 정식 운영 예정인 ‘광명상생플랫폼’을 통해서는 온라인 판로 개척과 맞춤형 마케팅, 콘텐츠 제작 지원에 나선다.
시는 최근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주관 ‘2025년 상권친화형 도시 조성 사업’ 시범사업 지자체에 선정됐다. 원스톱 지원센터, 장인대학, 선진상권 정책연수 등을 운영하며 상권 기반시설 확충과 특화 거리 조성, 지역 대표 축제 개최, 상생 플리마켓 운영 등으로 상권 자생력을 높일 계획이다. 시범사업 성과에 따라 본 사업에 선정되면 최대 60억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홍 국장은 “지역상권이 스스로 성장하고 상권 간 연계가 강화되는 구조를 만들 것”이라며 “시민과 상인이 함께 누리는 경제 선순환 모델을 정착시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