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시세]금값 또 사상 최고치

오늘의 금시세 한국금거래소
오늘의 금시세 한국금거래소

한국금거래소가 2025년 10월 2일자 금·은·백금 시세를 발표했다. 순금시세(24K, 3.75g)의 살 때 가격은 777,000원으로 전일 대비 변동이 없었고, 팔 때 가격은 685,000원으로 역시 변함없었다. 18K 금시세와 14K 금값시세는 각각 503,500원, 390,500원으로 전일과 동일한 시세를 유지했다. 백금(Platinum, 3.75g)은 살 때 가격이 306,000원으로 4,000원 하락했고, 팔 때는 252,000원으로 3,000원 내려 각각 –1.31%, –1.19%의 하락세를 보였다. 은(Silver, 3.75g)은 살 때 10,130원으로 30원 올라 0.3% 상승했고, 팔 때는 7,400원으로 20원 올라 0.27% 상승했다.

국제 시세 흐름에서도 일부 귀금속은 조정 양상을 보였다. 금은 온스당 USD 3,863.9에서 USD 3,865.6 수준이었고, 전일 대비 약간의 등락 폭을 보였다. 백금은 USD 1,546.95 ~ USD 1,553.45 범위로 약세 흐름이 감지됐다. 은은 USD 47.38 ~ USD 47.52 수준에서 거래됐다. 기준환율은 1,403.45원으로 전일 대비 소폭 하락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금값은 여전히 큰 폭의 상승 흐름을 이어간다. 순금 살 때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약 62.89% 상승한 상태이며, 3년 전 동월 대비로는 약 134.74% 올랐다. 현재 순금 가격은 과거 최고가와 동일한 수준이다.

금시세는 금의 국제 시장 가격을 온스 단위 달러로 결정한 뒤 이를 환율·부가세·가공비·유통비·순도·국내 수요와 공급 요인 등이 결합해 원화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보통 순금 1돈(3.75g) 또는 1그램 단위로 금액을 표기하며, 사고파는 가격 간 차이는 부가비용과 마진 등이 포함된 거래 관행 때문이다. 또한 국내 금값 결정 구조에 대해 “국제 금 시세 + 환율 + 세금(부가세)” 등 요소가 결합된다는 설명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미국 연방정부가 의회의 예산안 처리 실패로 셧다운, 즉 정부의 일부 기능 정지 상태에 돌입했다. 이번 사태로 수십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강제 휴직 조치됐고, 다수 기관은 최소한의 기능만 유지한 채 사실상 업무가 중단된 상태이다. 

셧다운이 장기화할 경우 미국 경제 전반에 걸친 충격이 우려된다. 정부 지출이 멈추면 공공 부문 소비가 급격히 축소되고, 각종 경제 지표 발표 일정도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비농업 고용지표 등 핵심 통계가 예정대로 발표되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백악관 내부 메모에 따르면 셧다운이 계속되면 매주 약 150억 달러 규모의 국내총생산(GDP)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이처럼 정부 기능 마비와 통계 공백 리스크가 겹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는 불확실성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국제 시장에서는 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금값 강세 흐름을 밀어 올리는 요인으로 자주 언급된다. 국제 금값이 신기록 수준을 경신한 것은 정부 셧다운 리스크와 금리 인하 기대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시장 전망에서는 상승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을 제시하는 분석과 함께 조정 가능성 경계론도 공존한다. 일부 기관은 연말까지 국제 금값이 추가 상승 여지를 가진다고 보고 목표치를 상향한 상태다. 일부 은행에서는 금값 전망치를 온스당 USD 4,000 선으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다만 금값이 고점권에 있는 만큼 투자자 중 일부는 차익 실현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연준의 정책 방향, 미국의 경제 지표(물가·고용 등), 환율 변동성, ETF 및 중앙은행의 매수·매도 흐름 등이 금값 향방을 결정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투자자 관점에서는 고가 국면 진입 시점에서는 무작정 진입하기보다는 분할 매수 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금·은·백금 간 상대 가격 비율, 유동성 흐름, 가격 조정 특이점 등을 함께 살피는 전략이 필요하다.

1일자 기준, 순금시세(24K, 3.75g)는 매입가 777,000원으로 전일 대비 4,000원 올라 0.51% 상승했고, 매수가 685,000원으로 변동이 없었다. 18K 금시세와 14K 금값시세는 각각 503,500원, 390,500원으로 전일과 동일한 가격을 유지했다. 백금(3.75g)은 매입가 306,000원으로 4,000원 하락했고, 매수가 252,000원으로 3,000원 내려 1.31%와 1.19% 하락 폭을 보였다. 은 시세는 매입가 10,130원으로 30원 올랐고, 매수가 7,400원으로 20원 상승했다.

국제 금값은 온스당 약 USD 3,863.09에서 USD 3,865.09 구간을 오가며 1.22% 상승 흐름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