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인이라면 가을 산행할 때 간식·물·전해질 음료 챙기세요



일교차가 크고 대기가 건조한 가을이 다가왔다. 선선한 바람을 따라 산을 찾는 등산객이 늘어나는 시기다. 산행의 즐거움 뒤에는 예상치 못한 건강 복병이 숨어 있다. 준비 없이 무리하게 산을 오르면 안전사고와 응급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먼저 살펴야 할 것은 자신의 건강 상태다. 고혈압·당뇨·고지혈증 같은 만성질환이나 협심증 등 심혈관 질환, 천식·알레르기가 있다면 평소 복용하던 약을 반드시 챙겨야 한다. 당뇨 환자의 경우 저혈당을 막기 위해 간식과 물, 전해질 음료를 준비한다. 혈당(공복)이 300mg/dL 이상으로 불안정하다면 산행을 피한다. 인슐린 투여자는 식사 또는 투여 1시간 후에 등산을 시작하는 것이 안전하다. 혈압이 180/100mmHg 이상으로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라면 산책으로 대신하는 게 좋다. 심혈관 질환자는 일상적으로 가벼운 조깅이 가능한 경우에만 산행을 권장한다.


가슴 통증·두통·어지럼증 땐 진료받아야


체온 조절은 가을 산행의 주요 변수 중 하나다. 특히 새벽이나 고지대일 땐 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혈관이 수축하고 심장에도 부담이 커질 수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이규배 교수는 “65세 이상은 체온 조절 능력이 저하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심혈관 질환 병력이나 흡연력이 있는 경우 낮은 강도의 짧은 코스를 선택하고, 혼자보다는 일행과 함께 이동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옷차림은 기온 변화에 대비해 얇은 옷을 겹쳐 입고, 땀 배출이 잘되는 기능성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등산 중 갑작스러운 통증이나 신경학적 이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 조치를 받아야 한다. ▶가슴을 조이는 통증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평소와 다른 극심한 두통 ▶시야 흐림 ▶식은땀을 동반한 어지럼증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 등이 대표적이다. 이 교수는 “잠시 쉬었을 때 증상이 가라앉더라도 원인이 해소된 건 아닐 수 있어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기저질환이 없어도 평소 운동이 부족하면 등산은 심폐와 근골격계에 무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체력과 건강 상태에 맞는 강도와 코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분 보충은 목이 마르기 전부터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게 이상적이다. 갈증을 느낄 땐 이미 탈수가 진행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교수는 “카페인과 알코올은 이뇨작용을 촉진해 탈수를 악화시키고 균형감각을 떨어뜨리므로 산행 전후에는 피해야 한다”며 “하산할 땐 체력 소모와 관절 충격이 더 크기 때문에 보행 스틱을 활용해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도움된다”고 말했다. 


신영경 기자 shin.youngkyu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