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MMORPG 팬들이 기다려온 컴투스 신작 ‘더 스타라이트’의 출시일이 성큼 다가왔다.
더 스타라이트는 혼돈이 시작된 대륙 마이어소티스를 무대로 여러 차원이 얽힌 멀티버스 세계 속에서 소환된 다섯 영웅의 서사를 그린 MMORPG다.
컴투스는 이번 작품을 통해 단순한 기능 중심 콘텐츠를 넘어 세계관, 캐릭터, 사운드, 그래픽 등 게임의 모든 요소를 하나의 서사에 유기적으로 녹여내는 ‘4세대 MMORPG’를 구현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전투 시스템 역시 차별화를 꾀했다. 일정 구역에서만 충돌 물리가 적용돼 진입 차단이나 협공 같은 전략 플레이가 가능하며 이동, 사냥 중심 구간에서는 충돌을 제거해 쾌적한 조작감을 제공한다. 이를 대표하는 콘텐츠가 바로 더 스타라이트의 핵심으로 꼽히는 영광의 섬이다.
사운드 디자인도 강점으로 강조된다. 컴투스는 “날씨 변화, 지형, 환경 요소 등 배경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세밀하게 반영해 입체적인 공간감을 구현했다”며, “이동 방향이나 바닥 재질에 따라 물소리와 발소리가 달라지도록 설계해 현실감을 한층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저 간 스펙 격차 완화에도 공을 들였다. 출시 버전에서는 신화 등급 장비를 제외했으며 이에 대해 컴투스는 “전설 등급이 충분히 확산되고 유저 간 격차가 줄어든 뒤 업데이트로 추가할 수 있다. 다만 시기는 지금 말씀드리기 어렵고 가까운 시일 내는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처럼 더 스타라이트는 수많은 MMORPG 속에서 돋보이기 위해 여러 장치를 마련했다. 게임톡은 더 스트라이트에서의 모험 시작 전 유저들이 알아두면 좋을 정보를 정리해봤다.
Q1. 오픈 시간은?
서버 오픈 시간은 9월 18일 오전 11시다.
Q2. PC 권장 사양은?
운영체제: 윈도우 10 64비트 이상
CPU: 인텔 i5-11600
메모리: 16GB
GPU: 엔비디아 GTX 1660
설치 용량: 20GB
Q3. 모바일 권장 사양은?
AOS: 갤럭시 S22 이상 스냅드래곤 8 Gen 1, 엑시노스 2200(OS 안드로이드 12)
iOS: 아이폰14 이상 A15(OS iOS 16)

Q4. 자동과 수동 플레이의 비중은?
모바일 최적화를 위해 대부분 자동 플레이로 즐길 수 있다.
Q5. 월드 전쟁 등의 대규모 PvP가 준비되어 있는가?
출시 버전에서는 선보이지 않으며 추후 하나씩 오픈할 예정이다.
Q6. 길드에 꼭 가입해야 하는가?
더 스타라이트는 길드 플레이를 중요시 여기는 게임이다. 개발진들도 중립보다는 길드 소속을 추천했다. 특정 콘텐츠에서 라인 길드들의 통제 운영이 가능하다.
Q7. 길드 혜택은?
길드 주화, 길드 포인트로 다양한 아이템을 교환할 수 있다. 길드 콘텐츠인 점령전, 공성전 등도 다른 MMORPG와의 차별화를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Q8. 추천 캐릭터는?
정식 버전 화력 수치, 과금량에 따라 다르지만 무, 소과금 기준 원거리 직업인 라이뉴 봄바스 궁수, 이리시아 마법사를 추천한다. 미디어 시연 버전 기준 클래스 체인지는 불가능했다.
Q9. 확률형 아이템 종류는?
아바타, 정령, 탈것, 무기 소울까지 총 4종이다. 이때 모든 확률형 아이템에 다이아가 소모되진 않는다. 골드를 소모하는 영역도 있다. 한지훈 사업부문장 설명에 따르면 다른 MMORPG보다 과금 허들이 높지 않도록 완화했다.
Q10. 확률형 아이템 최대 등급은?
일반, 고급, 희귀, 영웅, 전설, 신화 등급까지 존재하지만 출시 버전에서는 전설 등급까지만 제공한다.

Q11. 성장 패스 가격은?
미디어 시연 버전 기준 성장 패스는 8900원이다. 심화 성장 패스는 3만 2900원이다. 해당 가격은 변동될 수 있다.
Q12. 과금 시 효율적인 패키지를 판매하는가?
소환 지원 패키지, 아바타 스텝업, 탈것 스텝업 등 다양한 패키지를 판매한다.
Q13. 장비 강화 시 수치 파괴, 하락이 있는가?
강화 실패 시 단계 하락이 없으며 성공 확률이 추가로 늘어난다.

Q14. 리세마라 가능한가?
사전 보상을 통한 리세마라 가능 여부는 아직 알 수 없다. 출시 이후 직접 확인해야 한다.
Q15. 유료 장비는 존재하는가?
대부분 장비는 필드 사냥, 보스, 던전 등의 콘텐츠로 획득 가능하다. 100% 게임 플레이 획득 장비 요소 중 장신구는 언급되지 않았다.
Q16. 콘텐츠 종류는?
메인 퀘스트, 필드 파밍, 월드 보스, 별의 학원 등 여타 MMORPG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콘텐츠들이 모두 존재한다.

Q17. 생활 콘텐츠 비중은?
채집, 벌목, 채광 등 다양한 생활 콘텐츠가 제공되며 플레이의 비중 밸런스는 유저들의 플레이 지표를 통해 조정될 예정이다.
Q18. 더 스타라이트의 차별화 콘텐츠는?
PvP 배틀로얄 모드인 ‘영광의 섬’이라는 콘텐츠를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웠다. 영광의 섬은 개인전과 3인 팀전으로 구성되며 특정 시간에만 즐길 수 있다.
Q19. 컬렉션 시스템이 존재하는가?
몬스터 도감, 아이템 도감이 존재한다. 몬스터 도감의 경우 필드에서 몬스터를 처치하면 획득할 수 있는 정수로 등록하는 시스템이다.
Q20. 작업장 대처 방안은?
작업장을 100% 막을 수 없지만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휴대폰 본인 인증 강화, AI 기반 자동화 툴 등을 활용해 막아낼 것이다. 유저 간의 거래소는 당연히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