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야가 뿌옇게 흐려지거나 글씨가 일그러져 보이는 경우, 단순히 시력이 나빠졌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계속된다면 눈 속 망막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중장년층에서 흔한 망막전막은 시력 감퇴를 유발하는 주요 질환 중 하나입니다.
망막은 눈 가장 안쪽에 있는 얇은 신경 조직으로, 외부 빛을 전기 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사물을 선명하게 보고 색을 구분하며 공간을 인식하는 것도 모두 망막의 기능 덕분입니다. 이 중에서도 정밀한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의 중심부, 황반 위에 얇은 막이 형성되어 시야를 왜곡시키는 질환이 바로 망막전막입니다.
이 막은 섬유성 조직으로, 유리체라는 젤리 같은 조직이 망막에서 떨어지면서 생긴 미세한 손상이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이가 들면 유리체와 망막 사이의 접착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중장년층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대부분 특별한 원인 없이 생기지만, 당뇨망막병증이나 망막 혈관 질환, 눈 외상 등과 관련이 있는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망막전막의 주요 증상은 시야 뒤틀림입니다.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거나 직선이 굽어 보이고, 글자가 겹쳐 보이는 등의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해 큰 불편이 없을 수 있지만, 막이 두꺼워지고 망막을 잡아당기면 점차 시력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한쪽 눈에만 증상이 나타날 경우 반대쪽 눈이 이를 보완해 이상을 인지하지 못하고 질환이 더 진행된 뒤에야 발견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진단은 안과에서 안저 검사나 망막 단층촬영(OCT)으로 비교적 쉽게 이루어집니다. OCT 검사로 망막에 생긴 막의 위치와 두께, 주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어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일반 시력 검사로는 원인을 정확히 정확히 진단하기알기 어렵기 때문에, 이상이 느껴지면 되도록 빨리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망막전막 치료는 증상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증상이 가볍고 시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 정기적인 관찰만으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시야 왜곡이 심하거나 시력이 빠르게 떨어질 경우 수술 (유리체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수술은 눈 속 유리체를 제거하고 황반 위의 막을 정교하게 떼어내는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최근에는 미세수술 장비가 발전하면서 수술 시간과 회복 기간이 모두 단축되었습니다.
수술 후 시력 회복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막이 망막에 오래 붙어 있었던 경우 회복 속도가 더딜 수 있습니다. 또한, 백내장이 함께 진행되었거나 수술 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백내장 수술을 동시에 진행하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입니다.
망막전막은 정확한 진단 없이는 다른 시력 문제로 착각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증상이 가볍다고 넘기면 질환이 점차 악화되기 쉽고, 방치할 경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생기며 회복도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독서, 컴퓨터 작업, 운전 등 정밀한 시력이 필요한 활동을 자주 하는 분들은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사물이 휘어 보이거나 시야에 이상을 느낀다면 단순히 넘기지 말고, 정밀 검사를 통해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