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연휴 소홀하기 쉬운 건강관리…과식·야식·과음과 거리 둬야


명절 연휴엔 소화불량이나 복통, 복부 팽만감, 설사 같은 소화기 증상을 주의해야 한다. [출처:Gettyimagesbank]

명절 연휴엔 소화불량이나 복통, 복부 팽만감, 설사 같은 소화기 증상을 주의해야 한다. [출처:Gettyimagesbank]


최대 명절 추석 연휴가 곧 시작된다. 연휴가 긴 만큼 건강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자칫 소홀하다 병원 응급실을 찾는 상황도 벌어진다. 가장 주의해야 할 건 역시나 음식이다.


명절이면 복통, 설사 같은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급증한다. 평소보다 과식·야식을 즐기거나 과음하는 상황이 많아서다. 식사량이 갑자기 늘면 소화불량, 역류성 식도염, 복통, 복부 팽만감, 설사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드물지만 식중독이나 명절 스트레스의 여파로 위장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명절 음식은 대부분 기름지고 지방이 많은 편이다. 기름진 음식은 위와 식도 사이 괄약근의 압력을 떨어뜨려 위산을 역류시킨다. 식도는 별도의 보호막이 없기 때문에 역류된 위산이 식도를 손상시켜 역류성 식도염으로 이어진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이 즐겨 먹는 명절 음식 중에는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이 많아 위 점막을 자극하기 쉽다. 이는 소화에 부담을 줘 속 쓰림 증상을 유발한다.


야식 먹은 뒤엔 가벼운 운동으로 에너지 소모


또 늦은 밤 음식을 먹으면 신진대사 능력이 저하하고 위산이 낮보다 적게 분비돼 소화불량이 잘 발생한다. 기름진 음식을 밤에 먹는 것은 위장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그대로 잠자리에 든다면 위와 식도의 괄약근이 열리면서 식도염이나 속 쓰림이 발생한다.


울산엘리야병원 내과 채승병 과장은 “즐거운 연휴를 병원에서 보내기 싫다면 과식, 과음, 야식을 멀리해야 한다”며 “고열량, 고지방 음식을 과다하게 섭취하기보다 위에 부담이 덜 가는 음식 위주로 먹는 게 좋다. 야식을 먹어야 한다면 식후에는 과잉 섭취된 열량이 지방으로 축적되지 않도록 가벼운 운동을 통해 에너지를 충분히 소모해 주는 것도 소화기 질환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식중독도 요주의 대상이다. 초가을 큰 일교차와 최근 잇따른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기온이 높은 가을이 이어지면서 음식이 상할 수 있다. 오랜 기간 두고 먹어야 하는 명절 음식 특성상 보관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가을철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음식물 보관 주의와 더불어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충분히 익혀 먹기 ▶물 끓여 마시기 ▶과일, 채소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 먹기 ▶설사 증상이 있을 경우 음식 조리에 참여하지 않기 ▶위생적인 환경에서 조리하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하게 지키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