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은 노안과 달라, 정밀 안과 검진으로 구분해야


백내장은 전 세계적으로 시력 저하를 일으키는 흔한 안질환의 하나다. 눈 속의 수정체가 뿌옇게 혼탁해져 빛이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면서 시야가 흐려진다. 방치하면 실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주된 원인은 노화지만 당뇨병·외상,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 자외선 노출도 발병에 영향을 준다. 고령층에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40~50대에서도 조기 백내장이 발견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심형석 대표원장.
심형석 대표원장.


문제는 흔히 혼동하는 ‘노안’과의 차이다. 노안은 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져 가까운 것이 잘 안 보이는 현상이다. 돋보기안경 등으로 교정할 수 있다. 반면 백내장은 수정체 자체가 흐려지는 질환이어서 시야 전반이 뿌옇다. 빛 번짐이나 야간 시력 저하가 동반된다. 안경이나 약물로는 개선되지 않는다.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수술만이 근본 치료법이다.


창원 예일안과 심형석 대표원장은 “노안과 백내장은 모두 나이와 관련 있지만 원인과 치료 방법은 완전히 다르다”며 “노안은 생활 보조 도구로 해결할 수 있지만 백내장은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진행성 질환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술은 2~3㎜ 미세 절개를 통해 초음파로 수정체를 제거하고 환자의 눈 상태에 맞는 인공수정체(단초점, 난시 교정용, 다초점, 연속초점 등)를 삽입한다. 시력 수치보다는 환자가 일상에서 불편을 느끼는 시점이 수술 결정의 기준이 된다.


심 원장은 “40대 이후 시력 변화가 나타나면 단순히 노안으로 생각하지 말고 정밀 검진을 받아야 한다”며 “특히 야간 운전 시 불편감이 크거나 시야가 뿌옇게 보인다면 조기 진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