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잠꼬대 심해 걱정? 파킨슨병 전조 증상일 때 자주 나타나는 유형


중년 이후 새롭게 시작된 폭력적인 잠꼬대라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중년 이후 새롭게 시작된 폭력적인 잠꼬대라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수면 중 부모님이 잠꼬대가 심해 걱정인 가족이 많다. 잠꼬대 중 일부는 단순한 수면 현상이 아니라 렘수면행동장애(REM Sleep Behavior Disorder·RBD)일 수 있고, 이는 파킨슨병이나 루이소체 치매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의 전조 증상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인 잠꼬대는 주로 깊은 잠인 비렘수면 단계에서 발생한다. 대개 짧은 중얼거림이나 일상적인 대화 수준으로 나타나며, 피로나 스트레스가 쌓였을 때 일시적으로 발생한다. 몸은 움직이지 않고 소리만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건강상 위험과 연결되는 일은 거의 없다.


반면에 파킨슨병과 관련된 잠꼬대는 렘수면 단계에서 발생한다.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특징적인 잠꼬대 유형이 있다. 첫째, 공격적이거나 방어적인 행동을 동반하는 경우다. 마치 누군가와 싸우는 듯한 말과 몸짓이 나타난다. 둘째, 꿈 내용을 그대로 따라 하는 발화형이다. 쫓기거나 싸우는 상황을 재현하며 “도망가”, “비켜” 같은 말을 내뱉는다. 셋째, 공포 반응성이 강한 경우다. 비명이나 통곡, 겁에 질린 울음소리가 나타난다. 넷째, 단순히 일상적인 대화처럼 중얼거리는 형태로, 이는 파킨슨병의 초기 단계에서 보일 수 있다.


특히 일반 잠꼬대는 일시적이고 반복성이 낮지만, 렘수면행동장애는 수년 이상 지속하며 증상이 점점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중년 이후 새롭게 시작된 폭력적인 잠꼬대라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정확한 감별을 위해선 수면다원검사 같은 전문적인 진료와 검사가 요구된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중년 이후 새롭게 시작된 격렬한 잠꼬대가 반복된다면 단순한 현상으로 치부하지 말고 반드시 신경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며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40~60%는 10년 내 파킨슨병이나 루이소체 치매 같은 알파-시누클레인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