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보다 한 잔 더? 위암 위험 뛴다


술을 마시는 양이 갑자기 늘면 위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대규모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시는 양보다는 얼마나 늘었는지와 줄었는지 같은 음주 습관의 변화가 위암 예방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최용훈 교수와 국립암센터 장지은 박사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40세 이상 성인 31만여 명을 약 12년간 추적 관찰했더니 음주량 변화가 위암 위험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하루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남성은 ▶경도(15g 미만) ▶중등도(15~29.9g) ▶고용량(30g 이상), 여성은 ▶경도(7.5g 미만) ▶중등도(7.5~14.9g) ▶고용량(15g 이상)으로 나누고 음주량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비음주자가 술을 새로 시작하면 가벼운 수준이라도 위암 위험이 약 14% 증가했다. 중등도 음주자가 절주(경도 수준)로 줄이면 위암 위험이 약 20% 낮아졌다.


남성은 음주량이 조금만 늘거나 줄어도 위험 변화가 뚜렷했다. 여성은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비음주 상태에서 갑자기 폭음(고용량)으로 옮겨가면 위암 위험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술을 아예 마시지 않거나 줄이는 것이 위암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김나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음주량의 절대적 양보다 최근의 변화 양상에 주목해 위암 위험을 살펴본 첫 장기 연구”라며 “꾸준히 절주하거나 금주하는 습관이 위암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내시경으로 조기 위암을 치료한 적이 있거나 가족력, 흡연 등 고위험 인자가 있는 경우 반드시 금주해야 한다”며 “금주가 어렵다면 최소한 음주량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대한암학회 공식 학술지 ‘암 연구와 치료(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최근호에 실렸다. 


(왼쪽부터)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최용훈 교수, 국립암센터 장지은 박사

(왼쪽부터)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최용훈 교수, 국립암센터 장지은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