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맘때쯤 심해지는 건선, 피부 보습 유지가 기본


건선은 단순한 피부 병변이 아닌 전신 염증 질환이다. [출처: Gettyimagesbank]

건선은 단순한 피부 병변이 아닌 전신 염증 질환이다. [출처: Gettyimagesbank]


계절이 바뀌면 피부는 가장 먼저 반응한다. 겨울철엔 날씨가 차고 건조한 탓에 피부질환도 악화하기 쉽다. 만성 염증성 질환인 건선이 대표적이다. 차가운 바람과 낮은 습도는 피부장벽을 약화해 염증 반응을 자극하고, 이로 인해 병변이 심화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건선 환자는 약 15만6000명으로 추정된다.


건선은 은백색 각질이 두껍게 쌓인 판이나 구진 형태로 나타난다. 단순한 피부 병변에 그치지 않고, 전신 염증 질환으로 분류된다. 건선이 오래 지속되면 다른 부위로 염증이 번질 수 있다. 비만·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증후군이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커진다. 따라서 건선은 외관상의 불편을 넘어 삶의 질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꼽힌다. 


건선은 면역계의 불균형에서 비롯된다.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보조 T세포(Th1·Th17)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서 염증성 물질이 방출되고, 각질형성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증식한다. 여기에 ▶유전적 요인 ▶피부 외상 ▶감염 ▶차갑고 건조한 기후 ▶스트레스 ▶특정 약물 등도 발병과 악화에 영향을 준다.


면역 불균형으로 생기는 만성 전신질환


건선은 종종 아토피피부염과 혼동되기도 한다. 하지만 두 질환은 발병 시기와 병변 부위, 증상 양상이 다르다. 아토피피부염은 주로 소아기에 시작되고, 팔이나 목 뒤 등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 생긴다. 반면 건선은 20대 이후 성인기에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두피·팔꿈치·무릎 등 자극을 많이 받는 돌출 부위에 잘 생긴다. 환자의 절반 이상(50~70%)은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진단은 대부분 육안으로 가능하지만, 정확한 평가를 위해 피부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중증도는 PASI와 BSA 등으로 평가한다. PASI는 병변의 홍반, 두께, 각질 정도를 부위별 가중치로 점수화한 지표다. BSA는 병변이 차지하는 체표면적 비율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PASI 10점 이상 또는 BSA 10% 이상이면 중증 건선으로 분류한다.


겨울철에는 보습에 더 신경써야 한다. 보습제를 충분히, 자주 바르고 피부 자극과 손상을 줄이는 것이 기본 관리법이다. 고려대 안암병원 피부과 김대현 교수는 “피부가 건조해지면 가려움으로 긁게 되고, 이로 인한 피부 외상이 새로운 병변을 만들거나 기존 건선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건선은 장기적인 생활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만성 전신질환”이라며 “과도한 음주와 과식을 피하고, 감기와 같은 감염 예방에 주의하면서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를 실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영경 기자 shin.youngkyung@joongang.co.kr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하는 생활정보 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