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 미생물, 파킨슨병 조기 진단 단서 될 수 있다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은 발병 초기에 증상이 노화와 비슷해 조기 진단이 어렵다. 그런데 환자의 장내 미생물 변화를 통해 병의 진행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정선주·조성양 교수팀은 파킨슨병 환자 104명과 대조군 85명을 대상으로 장내 미생물 구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파킨슨병 진단 전 ‘렘수면 행동장애(잠꼬대, 발길질 등 수면 중 이상행동)’를 경험한 환자는 초기부터 장내 환경이 악화돼 있었던 반면, 렘수면 행동장애가 없던 환자는 초기에 균형을 보이다가 진단 2년 후부터는 유해균 비율이 높아지며 장내 환경이 급격히 나빠졌다.


특히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군은 장 점액층을 분해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아커맨시아(Akkermansia), 에쉬리키아(Escherichia) 같은 유해균이 많았고, 장벽을 보호하는 유전자 발현은 감소했다. 반대로 건강한 대조군은 프레보텔라(Prevotella), 파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 등 유익균이 풍부했다. 연구 대상자들의 식이섬유 섭취량이 권장량을 넘었음에도 이런 불균형이 나타났다.


정선주 교수는 “장내 미생물은 파킨슨병 조기 진단의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성양 교수는 “렘수면 행동장애 동반 여부에 따라 장내 환경이 크게 달라지는 만큼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최신호에 게재됐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정선주(왼쪽)·조성양 교수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정선주(왼쪽)·조성양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