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빙빙 도는듯한 느낌 반복되면 신경계 이상 신호


 


어지러우면서 균형감각이 떨어지고 안면 마비 등이 동반되면 뇌혈관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어지러우면서 균형감각이 떨어지고 안면 마비 등이 동반되면 뇌혈관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가벼운 어지럼증은 흔히 피로나 빈혈 탓으로 여기기 쉽다. 하지만 증상이 자주 반복되거나 주변이 빙빙 도는 느낌이 들면 주의해야 한다.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나승희 신경과 교수는 “어지럼증은 여러 질환의 신호로 나타나는 복합적인 증상”이라며 “특히 반복되거나 강도가 심하고 복시(겹쳐 보임) 같은 다른 신경 증상이 함께 있으면 뇌질환 등 중추신경계 이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어지럼증은 귀 안쪽 전정기관에 생기는 문제(이석증,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뇌졸중이나 뇌종양 같은 뇌 질환, 심장이나 혈압 이상, 당뇨병, 심지어 불안·우울 같은 정신적 문제까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된다.


증상도 제각각이다.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느낌은 전정계 이상에서 나타난다.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해 휘청거리면 소뇌나 운동 조절 문제다.


갑자기 일어설 때 눈앞이 캄캄해지면 기립성 저혈압이나 부정맥이 원인이다. 붕 떠 있는 듯한 느낌은 불안·공황장애 등 심리적 요인과 관련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증상 발생 시기, 지속 시간, 유발 요인, 동반 증상 등을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 전정기능검사, 뇌 MRI, CT, 안구운동검사, 청력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이석증 등 말초 전정기관 이상이라면 이석치환술이 효과적이다. 뇌졸중·뇌종양이 원인이라면 항혈전제나 수술 등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


심장질환이나 당뇨병이 원인일 땐 기저질환 조절이 우선이다. 심리적 요인이라면 인지행동치료나 약물치료도 도움이 된다.


어지럼증을 줄이려면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 수분 섭취,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다. 이석증 예방을 위해 햇볕을 자주 쬐거나 비타민 D 보충도 필요하며, 기립성 어지럼증이 잦다면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는 피해야 한다.


나 교수는 “어지럼증은 흔하지만 결코 가볍게 넘길 증상이 아니다”라며 “특히 균형감각 저하, 복시, 안면 마비 등이 동반된다면 뇌혈관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조기 진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