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이 타격한 한국 표적 캄보디아 스캠조직의 실체가 공개됐다. 해당 조직은 한국인을 중심으로 구성돼 정부기관이나 군부대 등을 사칭하며, 현재까지 1만5000개 소상공인에 약 35억 원의 피해를 입힌 것으로 확인됐다. [글=이창환 기자, 사진=국정원]](https://i0.wp.com/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11/414639_217994_3310.jpg?resize=600%2C338)
[이창환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국가정보원(국정원)이 코리아 전담반 출범 17일 만에 캄보디아 스캠조직을 타격하는 첫 성과를 올렸다. 특히 캄보디아 현지에서 한국인을 표적으로 하는 범죄의 실체를 확인해, 초국가적 대응 및 정부 합동 체계의 본격 가동을 증명했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겨냥 스캠 범죄가 극성을 부리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캄보디아 현지 당국과 손잡고 스캠 조직의 본거지 정면 급습에 나섰다. 국정원·경찰·법무부 등으로 구성된 합동팀은 캄보디아 경찰과 함께 현지 ‘노쇼-대리구매’ 조직을 덮쳐 한국인 조직원 17명을 검거하는 데 성공했다.
국정원은 초국가 범죄 대응을 위해 출범한 ‘코리아 전담반’의 첫 실질적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했다.
![지난 10월 말레이시아에서 가진 한-캄 정상회담의 모습. [연합뉴스]](https://i0.wp.com/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11/414639_217997_4228.jpg?resize=600%2C338)
‘한-캄 정상회담’ 후속 조치… 공동 전담반 17일 만의 타격
이번 단속은 지난 10월 말레이시아에서 가진 한-캄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캄보디아-한국 공동 전담반’(코리아 전담반)에 합의하면서 가능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코리아 전담반은 이달 10일 출범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됐다. 한국인 조직원의 신원·거점·디지털 기록 등 핵심 단서를 국정원이 파악하고, 이를 캄보디아 경찰에 실시간 전달하며 단속을 끌어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단순 정보 공유 수준을 넘어선 양국 수사 협력의 성과”라고 강조했다.
‘노쇼-대리구매’ 수법… 15000개 소상공인 35억 피해
검거된 조직은 한국인을 중심으로 구성된 스캠 집단으로, 지난 5월부터 약 15000개 소상공인을 상대로 총 35억 원가량을 편취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원에 따르면 이들의 범죄 구조는 치밀했다.
위조 공문서·명함을 보내 ‘정부·공공기관’ 등을 사칭하거나, 소상공인에게 대규모 주문을 미끼로 신뢰 관계를 형성해 왔다. 이들은 “다른 업체에서 고가 물품을 대리 구매해야 한다”라며 자금 입금을 유도하고, 입금 확인 즉시 연락을 끊고 잠적했다.
또 이들의 범죄 방식이 언론을 통해 노출되면 ‘군부대’ 등으로 사칭 기관을 변경하고 폐기물 처리·방독면 구매 등 새로운 명목의 거래를 꾸며내는 형태로 진화해왔다. 단순 사기가 아닌 전문적이고 구조화된 조직 형태를 갖춘 셈이다.
![캄보디아 현지에서 국정원 등 사정당국과 캄보디아 현지 경찰의 '코리아 전담반'에 의해 단속된 한국인 중심의 범죄조직 실체. [글=이창환 기자, 사진=국정원]](https://i0.wp.com/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11/414639_217995_395.jpg?resize=600%2C338)
7월부터 시아누크빌 폐카지노 지역 추적… 인터폴 수배 확장
국정원은 지난 7월,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폐카지노 일대 한국인 중심의 스캠 조직 운영 정황을 확보했다. 이후 거점 위치·한국인 조직원 신원·디지털 흔적 등을 추적해 보이스피싱 정부합동수사단(합수단)에 자료를 넘기고 공조 수사를 이어왔다.
합수단은 즉시 수사에 착수해 인터폴 수배 절차까지 신속하게 마무리했고, 코리아 전담반이 해당 정보를 현지 경찰과 실시간 공유하면서 단속에 속도를 냈다. 캄보디아 경찰 역시 적극 협조해 급습이 지연되지 않고 바로 실행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소상공인에 ‘사전 경보’… 피해 확산 차단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은 단속과 별도로, 범행 대상이 되는 소상공인에게 사전 연락을 통해 피해 경보를 알리며 예방 조치도 병행했다. 단순 검거를 넘어 2차 피해 확산을 막는 대응 체계가 작동했다는 평가다.
국정원 등 관계 당국은 이번 성과에 “대통령실 주도로 초국가 범죄 대응 체계가 구축된 결과”라며 “코리아 전담반 중심으로 캄보디아 경찰과 긴밀히 협력해 우리 국민을 노리는 초국가 범죄 조직을 끝까지 추적·발본색원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검거는 단순한 현지 단속을 넘어,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 등으로 확산하는 한국인 대상 범죄에 정부의 대응 의지를 드러낸 실질적 첫 단추다. 특히 “현지에 수사력을 직접 투입해 조직의 자금·거점·인력망까지 추적하겠다”는 전략적 변화가 확인됐다.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확장돼온 한국 표적범죄에 사실상 ‘선제 타격’의 신호탄을 올렸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태국 국경지역, 캄보디아 포이펫. [이코노미톡뉴스 박정우 기자]](https://i0.wp.com/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11/414639_217996_3937.jpg?resize=600%2C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