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을에도 자외선 차단에 신경써야 하는 이유


백반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반점이 넓어지고 전신으로 퍼질 수 있다. [출처: Gettyimagesbank]

백반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반점이 넓어지고 전신으로 퍼질 수 있다. [출처: Gettyimagesbank]


가을은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계절이다. 이 시기엔 여름 못지않은 강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피부 질환 발생 위험도 함께 높아진다. 피부에 멜라닌세포가 사라지면서 하얀 반점이 생기는 ‘백반증’이 대표적이다. 고려대 안산병원 피부과 유화정 교수는 “백반증은 100명 중 1~2명꼴로 발생하는 흔한 질환”이라며 “가족력이 있거나 장시간 야외 활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특히 주의가 필요하고, 조기에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백반증은 생명에는 지장이 없지만, 외관상 변화로 심리적·사회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면역체계가 멜라닌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샘질환, 원형탈모 등 다른 자가면역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전체 환자의 15~20%에 이른다. 이외에도 과도한 자외선 노출, 피부 외상, 항산화 효소의 불균형, 칼슘 섭취 이상 등이 발병 요인으로 거론된다.


피부 하얗게 변한다면 백반증 의심


증상은 통증 없이 시작된다. 초기에는 반점이 작아 알아차리기 어렵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반점이 넓어지고 전신으로 퍼질 수 있다. 특히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주변 피부가 햇볕에 그을리며 백반 부위가 더 도드라져 보인다. 


백반증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피부질환으로는 피부경화증, 백색잔비늘증, 탈색증 등이 있다. 유 교수는 “겉보기에는 모두 피부가 하얗게 변하는 공통점이 있지만, 원인과 치료법은 각기 다르다”며 “일반인이 육안으로 구분하긴 어렵기 때문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피부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백반증은 아직 완치법이 없는 질환이다. 다만 증상을 완화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치료법은 있다. 약물치료가 대표적인데, 이는 주로 국소 부위에 사용되며 피부 염증을 억제해 색소 회복을 돕는다. 멜라닌 세포 활성을 촉진하는 국소 자외선B(UVB) 광선치료도 이뤄진다. 일부 환자에겐 정상 피부에서 멜라닌 세포를 채취해 옮겨 심는 자가 피부 이식과 같은 외과적 치료가 적용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예방과 일상 관리다. 백반 부위는 햇빛에 민감해 자외선으로 인한 화상이나 피부암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외출 전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바르고, 3~4시간 간격으로 덧바르는 것이 좋다. 피부 노출을 줄이기 위해 긴소매 옷이나 모자 등을 활용하는 것도 도움된다. 


신영경 기자 shin.youngkyu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