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희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초국경 금융범죄에 강력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금융사들은 초국경 범죄가 의심되는 거래에 대해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일제 보고해야 한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24일 금융감독원과 16개 유관기관이 참석한 초국경 범죄 관련 ‘자금세탁방지 유관기관협의회’에서 초국경 자금세탁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의심거래 분석 및 신고 기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초국경 대응현황 점검…자금세탁방지 강화 방안 논의
이날 회의에서는 은행권을 중심으로 초국경 대응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초국경 범죄 관련 자금세탁방지를 강화하기 위한 정부와 금융회사 등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우선 FIU는 금융회사 등과 협력해 초국경 범죄 의심거래 유형을 분석하고, 금융사 등은 이에 해당하는 의심거래를 일제 보고하기로 했다. 지난주 FIU는 은행업권과 함께 일부 의심거래 유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추출하기 위한 기준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은행업권은 기준에 따라 의심거래 일제 보고를 실시 중이며, 향후 다른 업권에 대해서도 의심거래 일제 보고가 추진된다.
또 보고된 의심거래는 FIU에서 전략분석을 거친 후 검찰, 경찰 등 법집행기관에서 범죄조직 적발에 활용될 예정이며, 향후에도 주요 의심거래 유형별로 일제 의심거래 보고가 실시될 계획이다.
금융사들의 자금세탁방지 내부통제도 강화된다.
앞서 금감원이 은행업권의 해외 지점·자회사에 대한 AML(자금세탁방지) 관리·감독 현황을 점검한 결과, 일부 은행은 서면 점검에만 의존하는 등 내부통제상 일부 미비점이 확인됐다.
동남아 소재 지점 우선 점검…초국경 범죄 대응 확대
이에 FIU는 초국경 범죄 의심고객에 대한 고객 확인을 강화하고, 동남아 소재 지점·자회사를 우선 현장 점검하도록 하는 등 내부통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자금세탁방지 검사 시 금융사의 해외 지점과 자회사의 관리 실태에 대해서도 철저히 점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형주 FIU 원장은 “이번 협의회는 초국경 범죄 대응을 위한 첫걸음”이라며 “FIU는 캄보디아 사건에 한정하지 않고 향후 발생 가능한 초국경 범죄에 대한 대응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정보분석원 제도운영과 관계자는 취재진에 “FIU는 앞으로 은행권뿐만 아니라 가능한 모든 금융업권을 대상으로 내부통제 모니터링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초국경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 개선 추진과 함께 해외 FIU와의 금융거래 정보를 공유하는 등 공조 체계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태자단지’ 운영 배후로 지목된 캄보디아 프린스그룹 본사. [연합뉴스]](https://i0.wp.com/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11/414501_217814_5412.jpg?resize=600%2C4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