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질환 잡는 비수술 치료법
1~3일간 입원 모니터링 중요
절개부 열감 등 면밀히 살펴야
척추관협착증은 노년기 대표 척추 질환이다. 신경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과 추간공이 노화 등으로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면서 발생한다. 척추관협착증이면 걸을 때마다 특정 신경이 눌리면서 엉덩이에서 허벅지, 종아리로 찌릿한 통증과 저림이 발생한다. 증상이 반복되면 활동 반경이 좁아지고 삶의 만족도도 떨어지게 된다.
꼬리뼈·추간공 접근법 이중 활용
이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추간공확장술이다. 추간공확장술은 허리 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척추 유착성 질환 등으로 신경 통로가 좁아진 환자에게 시행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추간공을 넓혀 신경 자극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한다. 서울 광혜병원은 이 치료법을 개발한 박경우 원장이 이끄는 곳으로, 완성도 높은 시술은 물론 사후 집중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환자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있다.
추간공확장술은 크게 꼬리뼈 접근법(in-out)과 추간공 접근법(out-in)으로 나뉜다. 꼬리뼈 접근법만 활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두 가지를 함께 진행한다. 가장 먼저 시행하는 꼬리뼈 접근법에서는 엉치뼈(척추 아래 끝부분에 있는 이등변 삼각형 모양의 뼈) 아래 진입로를 통해 유연한 플라스틱 카테터(관)를 삽입, 척추관을 따라 병변이 위치한 추간공까지 접근하며 유착 부위를 미세하게 풀어준다. 이 방법은 피부 절개가 거의 없고 출혈과 부종 위험도 낮다.
이어지는 추간공 접근법에서는 옆구리를 통해 곧장 추간공으로 진입한다. 금속 재질의 특수 키트로 추간공 내·외 측 인대와 척추관 후방의 황색 인대를 일부 절제해 좁아진 공간을 넓히고 확보된 공간을 통해 신경 주변에 고여 있는 염증 유발 물질을 빼낸다. 이 과정에서 0.5㎝가량의 미세한 절개가 동반된다.
서울 광혜병원 박경우 원장은 “추간공확장술은 유연한 꼬리뼈 접근법과 견고한 추간공 접근법을 결합해 좁아진 신경 통로를 입체적으로 넓히는 치료”라며 “효과가 뛰어나지만, 초기 회복기에는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꼬리뼈 접근법만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 외래 관리만으로 충분하나 꼬리뼈·추간공 접근법을 모두 활용하면 입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시술 직후 1~3일간의 입원 모니터링이 치료 성과를 좌우한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인 입원 기간은 환자의 연령, 기저 질환 유무, 병의 중증도 등을 종합해 결정한다. 이 기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부작용 발생률과 재내원 위험이 크게 달라진다. 서울 광혜병원 척추센터는 병동 입원 시부터 표준화된 회복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다. ▶절개부 출혈 여부와 열감 ▶시술부 부종과 신경 부기를 시사하는 감각 변화 ▶통증 강도 변화와 약물 반응 ▶조기 보행 가능 여부 ▶부분 마취 회복 경과 등의 항목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꼼꼼하게 확인하고 있다.
사후 관리 미흡 땐 재내원 위험 커져
퇴원을 앞두고는 환자 교육도 체계적으로 이뤄진다. ▶목욕이 가능한 시점 ▶ 실밥 제거 시기 ▶피해야 하는 일상 속 동작 ▶근육 강화법 등 자가 관리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박 원장은 “시술 이후 회복 관리도 치료 과정의 일부라는 인식 아래 의료진과 환자, 보호자가 함께 움직여야 가장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수 기자 ha.jis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