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병원, 치매 조기 예측 돕는 시스템 개발




국내 연구진이 치매 코호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기반 치매 조기 예측 시스템을 개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는 오는 11월 공식 공개를 앞두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건 한양대병원 신경과 김희진 교수(사진) 연구팀이다. 이들은 서울·경기·경북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기관 치매 코호트 데이터를 통합, 1400여 건의 다중모달 데이터를 포함한 개방형 플랫폼(ALEAD)을 구축했다. 이 플랫폼은 연구자 간 데이터 공유와 협업을 촉진해 국내 치매 연구 생태계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연구진은 AI 기반 조기 예측 시스템도 공개를 앞두고 있다. 뇌 영상, 인지기능검사 등 다차원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개인의 뇌 나이와 치매 발병 위험도를 산출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단일 지표 중심 예측보다 높은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고 맞춤형 진료를 지원하는 임상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크다.


김희진 교수는 “이번에 구축한 플랫폼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키워 치매 전주기뿐 아니라 파킨슨병·노쇠 등 다양한 신경 퇴행성 질환까지 연구 영역을 확대하겠다”며 “나아가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와 환자 데이터를 연계해 국제 공동연구로 발전시키겠다”고 전했다.


하지수 기자 ha.jis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