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호 태풍 고토(KOTO)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제 55호 열대저압부가 발생했다.
55호 열대저압부는 25일 오전 3시경 중심기압 1000헥토파스칼(hPa) 중심 부근 최대 풍속 초속 15m(시속 54㎞) 세력으로 필리핀 세부 북동쪽 약 20km부근 육상을 지나 시속 33km 속도로 북서진하고 있다.
55호 열대저압부는 26일 오전 3시경 중심기압 994헥토파스칼(hPa) 중심 부근 최대 풍속 초속 21m(시속 71㎞) 강풍반경 240km의 제27호 태풍 고토(KOTO)로 발달해 필리핀 세부 서북서쪽 약 550km 부근 해상까지 이동해 시속 23km 속도로 서북서진 할 것으로 전망된다.
27호 태풍 고토 세부 해상을 지나 배트남 다낭 해상을 따라 북상하다 29일 오전 3시경 중심기압 985헥토파스칼(hPa) 중심 부근 최대 풍속 초속 27m(시속 97㎞) 강풍반경 270km의 중형급으로 발달해 베트남 다낭 남동쪽 약 590km 부근 해상까지 이동해 서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요일인 11월 25일 오전 6시 40분 현재 전국 내륙을 중심으로 가시거리 200m 미만의 짙은 안개가 낀 곳이 많고, 일부 지역에는 이슬비가 내리는 곳이 있다.
* 주요지점 가시거리 현황(25일 06시 현재, 단위: m)
– 수도권: 이천 130 판문점(파주) 150 양주 290 오산 440 과천 530 여주 540 수원 550 안산 630 안성 690
– 강원도: 봉평(평창) 70 서석(홍천) 70 안흥(횡성) 80 양구 120 기린(인제) 130 문막(원주) 220
– 충청권: 논산 60 보은 70 상당(청주) 70 영동 90 세종연서 100 증평 100 괴산 120 금산 150 부여 450
– 전라권: 나주 60 진안주천 80 임실 110 함평 120 광산(광주) 150 보성 160 순천 170 해남 200 보성군 400
– 경상권: 화서(상주) 80 의령군 100 칠곡 100 대곡(진주) 130
○ (전망)
오늘(25일) 아침(09시)까지 인천.경기도와 강원내륙, 충청권, 전라권을 중심으로 가시거리 200m 미만의 짙은 안개가, 그 밖의 내륙에도 가시거리 1km 미만의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다.
특히, 해안에 위치한 교량(영종대교, 인천대교, 서해대교, 천사대교 등)이나, 내륙의 강이나 호수, 골짜기에 인접한 도로에서는 주변보다 안개가 더욱 짙게 끼는 곳이 있겠고, 짙은 안개로 인해 이슬비가 내리는 곳도 있겠으니, 교통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또한, 원주, 청주, 광주, 무안공항에 저시정경보가 발효된 가운데 공항에서는 짙은 안개로 인해 항공기 운항에 차질이 있을 수 있겠으니, 항공교통 이용객은 사전에 운항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강수 및 유의 사항 >
○ (오늘 강수)
오늘(25일) 늦은 새벽(04~06시) 서해안에 비가 시작되어 오전(06~12시)에 그 밖의 전국(강원동해안 제외), 낮(12~15시)에 강원동해안으로 비(강원산지, 전북동부 높은 산지, 제주도산지 비 또는 눈)가 확대되겠으며, 늦은 오후(15~18시)에 대부분 그치겠으나, 강원도와 충북북부, 전북동부, 경북북동산지.북부동해안은 밤(18~24시)까지 이어지는 곳이 있겠다.
* 예상 강수량(25일)
– (수도권) 서울.인천.경기, 서해5도: 5~15mm
– (강원도) 강원산지.동해안: 5~20mm/ 강원내륙: 5~15mm
– (충청권) 대전.세종.충남, 충북: 5~15mm
– (전라권) 전북: 5~15mm/ 광주.전남: 5~10mm
– (경상권) 울릉도.독도: 5~20mm/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5mm 안팎
– (제주도) 제주도: 5~10mm
* 예상 적설(25일)
– (강원도) 강원북부 높은 산지(해발고도 1,000m 이상): 1~5cm/ 강원중.남부 높은 산지(해발고도 1,000m 이상): 1cm 안팎
– (전라권) 전북동부 높은 산지(해발고도 1,000m 이상): 1cm 안팎
– (제주도) 제주도산지: 1~5cm
○ (모레 강수)
모레(27일) 오전(06~12시)부터 전국 대부분 지역에 가끔 비(강원산지 및 남부지방 높은 산지 비 또는 눈)가 내리다가 밤(18~24시)에 대부분 그치겠다.
* 예상 강수량(27일)
– (수도권) 서울.인천.경기, 서해5도: 5~10mm
– (강원도) 강원내륙.산지: 5~10mm/ 강원동해안: 5mm 미만
– (충청권) 대전.세종.충남, 충북: 5mm 안팎
– (경상권)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울릉도.독도: 5mm 미만
– (전라권) 광주.전남, 전북: 5mm 미만
* 예상 적설(27일)
– (강원도) 강원산지: 1~5cm
– (전라권) 전북동부 높은 산지(해발고도 1,000m 이상): 1cm 안팎
○ (적설 변동성)
오늘(25일) 강원 높은 산지와 전북동부 높은 산지, 제주도산지에, 모레(27일) 강원산지와 전북동부 높은 산지에 내리는 비 또는 눈은 대기 하층과 지상의 미세한 기온 차이로 인해 같은 시.군 내에서도 고도별 강수 형태가 달라지고, 적설의 차이가 있겠다.
○ (강수 유의사항)
오늘(25일)과 모레(27일) 비 또는 눈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치는 곳이 있겠고, 일부 지역에는 싸락우박이 떨어지는 곳도 있겠으니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비 또는 눈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가시거리가 짧아지겠고, 도로가 미끄러운 곳이 있겠으며, 내일(26일) 새벽부터 아침 사이에는 오늘(25일) 내린 비 또는 눈이 얼어 빙판길과 도로 살얼음이 나타나는 곳이 많겠으니, 차량 운행 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저속 운행해야 한다.
또한, 낙엽이나 이물질 등에 의한 배수구, 배수로 막힘에 대비하는 등 피해 없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 (기온)
당분간 기온은 평년(최저 -3~6℃, 최고 8~15℃)과 비슷하겠다.
오늘(25일) 낮최고기온은 9~16℃가 되겠다.
내일(26일) 아침최저기온은 -3~7℃, 낮최고기온은 9~16℃가 되겠다.
모레(27일) 아침최저기온은 -1~8℃, 낮최고기온은 8~16℃가 되겠다.
오늘(25일)은 경상권내륙, 내일(26일)과 모레(27일)는 전국 대부분 내륙을 중심으로 서리가 내리는 곳이 있겠고, 내일 아침 기온은 경기북부와 강원내륙.산지를 중심으로, 모레는 전국 내륙을 중심으로 아침 기온이 영하권으로 내려가면서, 얼음이 어는 곳이 있겠으니, 농작물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내일은 수도권과 충청권, 전라권을 중심으로, 모레는 전국 내륙 중심으로 오늘 아침보다 5~7℃가량 낮겠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 춥겠으니, 낮은 기온으로 인한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 강풍 및 해상 >
○ (강풍)
강풍특보가 발표된 중부서해안은 오늘(25일) 밤까지, 전라서해안은 내일(26일) 새벽까지 순간풍속 70km/h(20m/s) 이상으로 매우 강하게 불겠고, 오늘 오전부터 전남남해안과 제주도에도 차차 바람이 순간풍속 70km/h(20m/s)(제주도산지 90km/h(25m/s)) 이상으로 매우 강하게 불면서 강풍특보가 추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오늘 그 밖의 전국 대부분 지역에도 바람이 순간풍속 55km/h(15m/s) 이상으로 강하게 부는 곳이 있겠으니,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모레(27일) 오전부터 서해안, 오후부터 강원영동과 경북동해안을 중심으로 차차 바람이 강하게 불겠다.
○ (해상)
풍랑특보가 발표된 서해중부해상은 오늘(25일) 밤까지, 서해남부해상은 내일(26일) 새벽까지, 제주도남쪽먼바다는 내일 오전까지 바람이 35~65km/h(10~18m/s)로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2.0~4.5m로 매우 높게 일겠다.
또한, 오늘 오전부터 그 밖의 제주도해상(제주도남부앞바다 제외)과 남해상(남해동부앞바다 제외), 오후부터 동해중부먼바다, 밤부터 동해중부앞바다와 동해남부먼바다에 차차 바람이 35~65km/h(10~18m/s)로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2.0~4.0m로 매우 높게 일면서 풍랑특보가 추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겠으니,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모레(27일) 새벽부터 서해상, 오전부터 남해서부먼바다와 제주도해상, 오후부터 남해동부먼바다와 동해상에 차차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겠다.
○ (너울)
내일(26일) 새벽부터 동해안에는 너울에 의한 높은 물결이 백사장으로 강하게 밀려오는 곳이 있겠으니, 해안가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 글피 전망 >
○ (하늘상태)
글피(28일)는 전국이 대체로 맑겠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오전까지 구름많겠다.
○ (기온)
글피(28일) 아침최저기온은 -5~6℃, 낮최고기온은 5~12℃가 되겠다.
특히, 글피는 전국 내륙을 중심으로 아침 기온이 영하권에 들겠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 춥겠으니, 낮은 기온으로 인한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 유의 사항 >
○ (건조)
건조특보가 발효된 강원동해안.산지와 경북동해안.북동산지를 중심으로 대기가 매우 건조하겠고, 그 밖의 지역에도 대기가 건조하겠다.
특히, 오늘(25일) 바람이 약간 강하게 불면서 작은 불씨가 큰불로 번질 수 있으니, 야외 활동 시 산불을 포함한 각종 화재 예방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오늘 비가 내리면서 건조특보가 해제되는 곳이 있겠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내리는 강수량이 적어 건조특보가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 (황사)
그제(23일)부터 고비사막과 중국북부에서 발원한 황사는 오늘(25일) 비에 섞여 내릴 가능성이 있다.
o 강풍주의보 : 경기도(안산, 시흥, 평택, 화성), 서해5도, 충청남도(태안, 당진, 서산, 보령, 서천, 홍성), 전라남도(해남, 영암, 무안, 함평, 영광, 목포, 신안(흑산면제외), 진도, 흑산도.홍도), 전북자치도(고창, 부안, 군산, 김제), 인천(강화군 제외)
o 풍랑주의보 : 서해전해상, 제주도남쪽바깥먼바다
o 건조주의보 : 강원도(강릉평지, 동해평지, 삼척평지, 속초평지, 고성평지, 양양평지, 강원북부산지, 강원중부산지, 강원남부산지), 경상북도(영덕, 울진평지, 포항, 경북북동산지)
(1) 강풍 예비특보
o 11월 25일 오전(06시~12시) : 전라남도(고흥, 여수, 완도, 거문도.초도), 제주도(제주도남부 제외)
o 11월 25일 오후(12시~18시) : 울릉도.독도
(2) 풍랑 예비특보
o 11월 25일 오전(06시~12시) : 남해동부안쪽먼바다, 남해동부바깥먼바다, 남해서부전해상, 제주도앞바다(제주도북부앞바다, 제주도동부앞바다, 제주도서부앞바다), 제주도남동쪽안쪽먼바다, 제주도남서쪽안쪽먼바다
o 11월 25일 오후(12시~18시) : 동해남부남쪽안쪽먼바다, 동해남부남쪽바깥먼바다, 동해중부안쪽먼바다, 동해중부바깥먼바다
o 11월 25일 밤(18시~24시) : 동해남부북쪽안쪽먼바다, 동해남부북쪽바깥먼바다, 동해중부앞바다
*전국 중기 날씨 전망(11월 28일부터 12월 4일까지)29일 수도권과 강원영서, 충청권, 전북 비(강원영서 비/눈!
< 중점 사항 >
○ (강수)
29일(토) 오후 수도권과 강원영서, 충청권, 전북에 비(강원영서 비 또는 눈)가 내리겠다.
○ (기온)
아침 기온은 -4~8℃, 낮 기온은 5~15℃로 평년(최저기온 -5~6℃, 최고기온 5~14℃)과 비슷하겠다.
< 28일(금) >
○ 중부지방 대체로 맑음, 남부지방과 제주도 구름많음
중부지방은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체로 맑겠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구름많겠다.
아침 기온은 -2~6℃, 낮 기온은 7~13℃가 되겠다.
< 주말전망 29일(토) ~ 30일(일) >
○ 29일(토) 오후 수도권과 강원영서, 충청권, 전북 비(강원영서 비 또는 눈)
29일(토) 오후 기압골의 영향으로 수도권과 강원영서, 충청권, 전북에 비(강원영서 비 또는 눈)가 내리겠다.
30일(일) 경상권과 제주도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체로 맑겠고, 중부지방과 전라권은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가끔 구름많겠다.
아침 기온은 -2~8℃, 낮 기온은 8~15℃가 되겠다.
< 12월 1일(월) ~ 4일(목) >
○ 전국 대체로 맑음, 충청권과 전라권, 제주도 가끔 구름많음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충청권과 전라권,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
아침 기온은 -4~6℃, 낮 기온은 5~13℃가 되겠다.
< 유의 사항 >
○ (해상)
28일(금) 오전 동해상을 중심으로 바다의 물결이 2.0~4.0m로 매우 높게 일겠다.
○ (건조)
강원영동과 경북동해안을 중심으로 대기가 매우 건조하겠으니, 산불을 포함한 각종 화재 예방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 예보의 변동성 >
29일(토)은 기압골의 발달과 이동속도 등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 변화에 따라 강수구역과 시점, 강수형태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