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뼈·추간공 접근법 함께 활용
추간공 넓혀 염증 유발 물질 배출
3㎜ 미세 절개로 환자 부담 적어
허리와 다리에 퍼지는 통증, 오래 걷기 힘든 간헐적 파행, 앉았다 일어설 때의 저릿함 등은 다양한 척추 질환에서 공통으로 관찰되는 증상이다. 진단명은 달라도 이들 증상에는 공통분모가 있다. 바로 추간공이다. 추간공은 신경 가지와 혈관이 지나가는 작은 통로다. 이 통로가 노화 등으로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면 통증, 저림 등의 증상을 겪게 된다. 서울 광혜병원 박경우 대표원장이 개발한 추간공확장술은 좁아진 추간공을 넓히고 염증을 빼내 이런 환자들의 불편을 해소한다. PLEF(Percutaneous Lumbar Extra-Foraminotomy)라는 용어로 국내외 학회에서도 소개되며 주목받고 있다.
추간공 내외 측 인대 부분 절제
추간공확장술은 기존 치료법과 여러 면에서 차별화된다. 기존에는 유연한 플라스틱 카테터(가느다란 관)를 꼬리뼈 부근으로 삽입해 병변에 접근했다. 이 방식은 협착 부위를 충분하게 뚫지 못하고 병소를 정확하게 겨냥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박 원장이 개발한 추간공확장술은 다르다. 플라스틱 대신 단단한 금속 재질의 도구를 꼬리뼈가 아닌 옆구리 쪽으로 넣어 병변에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도달한다. 곧바로 핵심 병소를 공략하는 방식이다. 이후 추간공 내외 측 인대를 부분 절제해 공간을 넓히는 기계적 치료를 시행하고, 확보된 공간을 통해 신경 주변에 고여 있던 염증 유발 물질을 빼낸다. 박 원장은 “공간 확보와 염증 배출을 함께 시행함으로써 통증의 근본 원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추간공확장술은 ^척추관협착증 ^디스크탈출증 ^척추 유착성 질환(섬유성) 등 다양한 척추 질환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박 원장은 질환별로 공략을 달리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한다. 척추관협착증에서는 좁아진 신경 통로를 직접 넓혀주는 게 핵심이다. 불필요한 절개 없이 신경이 지나는 길만 정리해 주는 방식이다. 박 원장은 “척추관을 오래된 하수도관에 비유하면 추간공은 배수구에 해당한다”며 “전체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막힌 배수구를 뚫어 물길을 살리듯 막힌 추간공만 넓혀도 환자에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고령 환자나 기저질환자에게도 적합
디스크탈출증일 경우 대개 빠져나온 디스크가 추간공의 전방부 공간(배쪽 경막외강)으로 돌출돼 신경을 누른다. 이때는 디스크를 직접 제거하는 대신 후방에서 두꺼워진 인대를 정리해 반대쪽 공간을 확보, 압력을 분산해 통증을 완화한다. 척추 유착성 질환은 손상된 디스크와 연골에서 배출되는 염증 유발 물질에서 유래한 미세한 섬유성 유착이 추간공 내외 측 인대와 신경 주변에 들러붙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신경 압박과 염증 반응이 겹쳐져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추간공확장술은 이 부위에 직접 접근해 인대 일부를 절제하고 유착을 제거함으로써 염증성 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열어준다. 특히 꼬리뼈 접근법과 추간공 접근법을 병행해 눈에 보이지 않는 깊숙한 유착까지 정밀하게 공략하는 게 핵심이다.
박 원장은 “추간공확장술은 3~4㎜의 미세 절개만으로 시행되는 최소침습적 시술이라 근 손실이 없고 흉터가 거의 남지 않는다”며 “게다가 부분마취로 진행돼 고령 환자나 당뇨·고혈압 등 다양한 기저 질환을 지닌 이들도 안전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