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21일은 ‘세계 치매의 날(World Alzheimer’s Day)’이다. 우리나라 역시 빠르게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환자가 늘고 있다. 2021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의 10.4%가 치매 진단을 받았다. 치매는 왜 생기고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동우 교수와 함께 치매의 핵심을 세 가지로 정리했다.
1. 뇌에 베타·타우 단백질 비정상적으로 쌓여 발생
치매는 크게 알츠하이머병(55~70%)과 혈관성 치매(중풍 등 원인)로 나뉜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에 아밀로이드 베타·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쌓여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원인은 하나가 아니라 노화, 유전, 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2. 치료는 증상 완화 → 원인 타격으로 진화 중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약은 아세틸콜린 분해 효소 억제제로, 인지 저하 속도를 늦추는 데 도움을 준다. 국내에는 패치형 치료제도 있어 복용이 어려운 환자에게 유용하다.
최근에는 항체로 비정상 단백질을 제거하는 면역치료제가 개발돼, 발병 초기 환자에서 병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치매 치료의 패러다임이 증상 완화에서 근본 원인 치료로 확장되는 중이다.
3. 치매의 10~15%는 완치 가능
치매의 약 10~15%는 완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알츠하이머병은 예방과 조기 발견이 핵심이다.
-건망증 vs 치매: 건망증은 단서를 주면 기억을 되살릴 수 있지만 치매는 단서를 줘도 기억을 못 떠올린다.
-초기 신호: 약속 반복, 물건 위치 잊음, 단어가 생각 안 나 대명사 사용, 감정 조절 어려움 등이 있다.
-예방 생활습관: 고혈압·당뇨 등 대사질환 관리, 금주·금연, 꾸준한 운동, 독서·대화 같은 인지 자극, 사회적 교류 유지가 도움된다.
강동우 교수는 “치매는 충분히 관리 가능한 질환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며 “보호자의 관심, 의료진의 전문 진료, 국가의 체계적 관리가 함께할 때 환자의 삶의 질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