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근개 파열, 수술법 따라 효과·합병증 차이 뚜렷


어깨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중 상당수는 ‘회전근개 파열’이 원인이다. 파열 정도가 심해 봉합이 불가능하면 난도 높은 수술이 필요하다. 이때 수술법 선택에 따라 치료 효과와 합병증 위험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성심병원 정형외과 노규철·이용범 교수팀은 봉합 불가능한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게 시행되는 대표적 수술법인 광배근 힘줄 이전술(LDTT)과 근육 전진술 후 완전봉합술(MA)의 효과와 위험성을 비교 분석한 메타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IF=10.1)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 세계 논문 24편, 수술 사례 956건을 종합 분석했다. 두 수술 모두 어깨 기능 회복과 통증 개선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세부 결과에서는 차이가 뚜렷했다.


광배근 힘줄 이전술은 외회전 기능 회복과 안전성에서 더 우수했다. 합병증 발생률은 18%로 근육 전진술(25.7%)보다 낮았다. 재수술률도 각각 8.9%와 20.8%로 차이를 보였다.


근육 전진술 후 완전봉합술은 관절 안정성 개선에 강점을 보였다. 어깨 관절 안정성을 나타내는 ‘견봉-상완골 간격(AHD)’은 근육 전진술 그룹에서 평균 1.92mm 증가해 광배근 힘줄 이전술 그룹(-0.19mm)보다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연구팀은 환자의 나이, 근육 상태, 외회전 기능 손상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맞춤형 수술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령이면서 외회전 기능이 크게 손상된 환자에게는 광배근 힘줄 이전술이, 비교적 젊고 근육 상태가 양호한 환자에게는 근육 전진술이 더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규철 교수는 “어깨 수술은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특성과 기능적 요구를 균형 있게 반영하는 맞춤 전략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재수술을 줄이고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봉합 불가능한 회전근개 파열 치료 전략에 중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림대성심병원 정형외과 노규철(왼쪽), 이용범 교수.

한림대성심병원 정형외과 노규철(왼쪽), 이용범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