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향: 전사, 대검전사, 화염술사, 빙결술사, 궁수, 석궁사수, 장궁병, 힐러, 수도사, 댄서, 도적, 격투가, 듀얼블레이드
하향: 검술사, 음유시인, 전격술사
상, 하향: 마법사, 사제
버그 수정: 악사
넥슨이 오는 9월 25일 MMORPG ‘마비노기 모바일’의 시즌 1 룬 추가 및 확장에 맞춰 대규모 밸런스 패치를 진행한다. 이번 업데이트는 각 클래스별 전투 스타일을 강화하고, 브레이크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전투의 전략성을 확대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공통 시스템에서는 적의 브레이크 상태를 연장할 수 있는 신규 효과 ‘브레이크 익스텐드’가 도입된다. 아군이 만들어낸 브레이크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 시 효과가 점차 감소한다. 또한 피해 증폭 공식이 재조정되고, 매혹·공포 등 일부 브레이크 타입의 대미지 증폭량이 상향돼 전투 효율성이 개선된다.
■ 공통
브레이크 된 대상의 브레이크 적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브레이크 익스텐드’ 효과가 추가됩니다.
아군에 의해 브레이크 상태가 된 대상도 ‘브레이크 익스텐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익스텐드’는 캐릭터마다 각 대상에게 한 번씩만 적용할 수 있으며, 여러 명이 동시에 적용할 경우 효과가 점점 감소합니다.
‘브레이크 익스텐드’의 ‘입는 피해 증가’ 효과는 중복되지 않습니다.
일반 또는 시너지로 적용되는 ‘받는 피해 증가’ 효과와 ‘주는 피해 증가 효과’의 상호 대미지 공식이 변경됩니다.
브레이크 시 대미지 증폭량이 조정됩니다.
매혹, 공포 등 상대적으로 대미지 증폭량이 낮은 타입의 브레이크 효과가 블로우 등과 유사한 수준까지 상향됩니다.

전사 계열에는 브레이크 적을 제압하는 신규 스킬 ‘퀘이크’가 추가되며, 대검전사와 검술사 역시 주요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 단축과 대미지 상향을 통해 전투 능력이 강화된다. 궁수 계열은 ‘다발 사격’ 패시브 개편과 신규 패시브 ‘약점 관통’ 도입으로 한층 유연한 전투 운용이 가능해졌다.
■ 전사
자세가 무너진 적을 확실하게 제압하는 도약 공격 스킬인 ‘퀘이크’ 스킬이 추가됩니다.
브레이크 된 대상에게 사용할 수 있는 ‘브레이크 익스텐드’ 스킬입니다.
적을 방패로 강타하여 피해를 주고 브레이크 상태를 연장하며, 적의 브레이크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더 큰 피해를 입게 만듭니다.
‘전장의 함성’의 대미지 증가 효과의 지속 시간이 8초 → 25초로 증가됩니다.
‘전장의 함성’에 ‘장신구 룬: 패기’ 적용 시 대미지가 36.4% 증가됩니다.
‘복수심’ 효과의 지속 시간이 10초 → 15초로 증가됩니다.
■ 대검전사
‘어깨치기’와 ‘발구르기’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2초 → 9초로 변경됩니다.
‘보복’ 발동에 필요한 체력 소모가 음식 효과 적용 이전 기준으로 변경됩니다.
■ 검술사
‘집중’의 치명타 피해 증가량이 50% → 30%로 변경됩니다.
‘강철쐐기’의 대미지가 44% 증가됩니다.
‘칼집치기’ 및 ‘장신구 룬: 압박’ 대미지가 40% 증가됩니다.
‘비검-강철쐐기’ 대미지가 40% 증가됩니다.
‘비검-칼집치기’ 및 ‘장신구 룬: 압박’ 대미지가 30% 증가됩니다.
‘일섬’ 대미지가 21% 증가됩니다.
‘낙화’ 대미지가 37.5% 증가됩니다.
‘낙화’의 브레이크 대미지가 1칸 추가되고 ‘집중 30 회복’이 추가됩니다.

마법사 계열은 클래스별 차별화가 뚜렷해졌다. 빙결술사는 신규 브레이크 전용 스킬 ‘아이시클 섀클’을 얻고, 주요 스킬의 대미지가 크게 증가했다. 반면 전격술사의 ‘낙뢰’와 ‘과충전’ 계열은 대미지가 조정돼 일부 하향이 적용됐다. 화염술사는 ‘파이어스톰’ 등 룬 조합 시 폭발적인 화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
◼ 마법사
‘아이스 대거’ 및 ‘장신구 룬: 서리가시’ 태그가 ‘#생존’에서 ‘#방해’로 변경됩니다. (견습 마법사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텔레키네시스’ 스킬의 공격 범위가 10% 증가됩니다.
‘라이트닝’ 대미지가 22% 감소됩니다.
‘라이트닝’ 감전 대미지가 25% 감소됩니다.
‘라이트닝’ 및 ‘장신구 룬: 낙뢰’ 궁극기 게이지 획득량이 30% 감소됩니다.
‘아이스 대거’ 및 ‘장신구 룬: 산사태’ 스킬 영상이 교체됩니다.
■ 화염술사
‘블레이즈’ 패시브 스킬에 ‘#연타’, ‘#원소’ 태그가 추가됩니다.
‘래피드 파이어’ 스킬에 ‘장신구 룬: 불씨’ 적용 시 열기 기본 생성량이 10 → 15로 증가됩니다.
‘파이어스톰’ 스킬에 ‘장신구 룬: 불기둥’ 적용 시 대미지가 53.8% 증가됩니다.
‘파이어스톰’ 스킬에 ‘장신구 룬: 열풍’ 적용 시 열기 기본 생성량이 10 → 20으로 증가됩니다.
■ 빙결술사
자세가 무너진 적을 확실하게 제압하는 공격 스킬인 ‘아이시클 섀클’ 스킬이 추가됩니다. * 브레이크 된 대상에게 사용할 수 있는 ‘브레이크 익스텐드’ 스킬입니다. * 적을 얼음 가시로 꿰뚫어 피해를 주고 브레이크 상태를 연장하며, 적의 브레이크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더 큰 피해를 입게 만듭니다.
‘아이시클 마크’ 패시브 스킬에 ‘#원소’ 태그가 추가됩니다.
‘사무치는 냉기’ 패시브 스킬에 ‘#원소’, ‘#강타’ 태그가 추가됩니다.
‘프리징 필드’ 대미지가 53.8% 증가됩니다.
‘장신구 룬: 겨울’ 대미지 41.2% 증가됩니다.
‘앱솔루트 제로’의 ‘강화 프리징 필드’와 ‘프리징 필드’가 겹쳤을 때 대미지가 중복 발생하도록 변경됩니다.
‘글레시어 커터’ 및 ‘장신구 룬: 북풍’의 대미지 42.8% 증가됩니다. – ‘크리스탈 엣지’ 1회째 공격의 대미지가 66.6% 증가됩니다.
‘크리스탈 엣지’ 2회째 공격의 대미지가 50% 증가됩니다.
‘크리스탈 엣지’ 3회째 공격의 대미지가 40% 증가됩니다. – ‘사무치는 냉기’ 대미지가 53.4% 감소됩니다.
‘아이시클 마크’의 ‘동결’ 대미지가 25% 감소되고, ‘동결’ 효과 적용을 위한 중첩 수가 20 → 25로 변경됩니다.
■ 전격술사
‘낙뢰’ 대미지가 10% 감소됩니다.
‘과충전’의 중첩 당 대미지 상승량이 10% → 9%로 변경됩니다.
‘파괴의 섬광’ 스킬이 과충전의 대미지 증가 효과도 동시에 적용 받도록 변경됩니다. * ‘파괴의 섬광’ 스킬의 자체 기능인 과충전 스택 당 대미지 증가와 중첩됩니다.
‘초월’이 지속되는 동안은 ‘과충전’ 스택이 쌓이지 않고, 시전 시점의 스택을 유지하도록 변경됩니다.
‘초월’ 종료 시 과충전도 즉시 종료되도록 변경됩니다.

힐러 계열은 아군 보조와 지속 회복 능력이 강화됐다. 사제의 ‘구원의 빛’은 치유 대상에게 시너지 대미지와 회복 효과를 부여하는 ‘소생’을 추가하며, 수도사와 일반 힐러 역시 룬 조합 시 치유와 공격 성능이 상향됐다.
■ 힐러
‘라이프 링크’에 ‘장신구 룬: 서약’ 적용 시, ‘약화 효과: 감속’의 중첩 당 지속 대미지가 500% 증가됩니다.
‘서먼 루미너스’에 ‘장신구 룬: 빛무리’ 적용 시 지속 대미지가 263% 증가됩니다.
‘팬텀 페인’에 ‘장신구 룬: 억압’ 적용 시, 마력 구체의 튕기는 거리가 10m → 15m로 증가됩니다.
사냥터에서 전투 중, ‘라이프 링크’를 아군에게 연결하기 위해 이동하며 전투가 진행되지 않던 현상이 수정됩니다.
‘빛의 손길’ 장비 착용 해제 후에도 ‘라이프 링크’ 대상 자동 변경 효과가 남아있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 사제
‘성전’의 신성력 소모량 1당 대미지 증가 효과가 1% → 0.8%로 변경됩니다.
‘켈틱 크로스’ 스킬이 부여하는 ‘소생’ 효과의 지속 시간이 10초 → 20초로 증가됩니다.
‘구원의 빛’ 이 치유한 대상에게 ‘소생’ 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이 추가됩니다.
‘소생’ 효과: 20초 지속, 시너지 대미지 10% 증가, 매초 체력 0.5% 회복
‘빛의 손길’ 장비 착용 해제 후에도 ‘서먼 링커’ 대상 자동 변경 효과가 남아있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 수도사
‘화신’에 ‘장신구 룬: 광휘’ 적용 시, 활성화 대미지가 90.9% 증가됩니다.
‘치유’에 ‘장신구 룬: 업화’ 적용 시, 타겟 대미지가 36.6% 증가됩니다

음유시인 계열은 전투 보조 능력의 효율성을 조정받았다. ‘용맹의 찬가’의 증폭량이 하향됐지만 ‘죽은 척하기’ 상태에서 받는 피해 감소 효과가 새로 부여되며 생존력이 향상됐다.
■ 음유시인
‘용맹의 찬가’의 연주 스킬 대미지 증폭량이 30% → 15%로 변경됩니다.
‘죽은 척하기’ 상태일 때 받는 피해 40% 감소 효과가 추가됩니다.
‘죽은 척하기’에 ‘장신구 룬: 기만’ 적용 시 ‘서프라이즈 샷’의 피해량이 75% 증가됩니다.
‘죽은 척하기’에 ‘장신구 룬: 재치’ 적용 시 ‘맞은 척하기’의 피해량이 81% 증가됩니다.
■ 악사
‘3악장: 격정의 폭풍우’에 ‘크레센도’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 효과가 타겟에게 더 밀집하여 발생하도록 변경됩니다.
어시스트 모드에서 일부 스킬을 최대 사거리 밖에서 사용하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기교: 클라이맥스’ 사용 시 무드 수치와 무관하게 ‘모데라토’가 발동하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 댄서
‘앵콜’에 ‘#연타’, ‘#이동’ 태그가 추가됩니다.
‘앵콜’ 사용 도중 ‘밀치기 면역’과 ‘브레이크 면역’이 추가됩니다.
‘템포’의 ‘스킬 대미지 증가 효과’가 ‘최종 대미지 증가 효과’로 변경됩니다.
‘피날레’의 ‘공연의 열기’를 소모할 때마다 증가하는 ‘피날레’ 피해량이 100% 증가됩니다.
‘피날레’의 ‘공연의 열기’에 따른 ‘스킬 대미지 증가 효과’가 제거됩니다.
‘공연의 열기’를 보유할 경우 ‘스킬 사용 속도 10% 증가 효과’가 추가됩니다.

도적 계열은 ‘블리츠 러시’와 ‘파이널 히트’의 연속 타격 대미지가 크게 강화돼 폭발적인 순간 화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됐다.
■ 도적
‘포이즌 어택’ 패시브 스킬에 ‘#연타’, ‘#보조’ 태그가 추가됩니다.
‘블리츠 러시’ 연속 타격 대미지가 100% 증가됩니다.
‘블리츠 러시’ 마지막 타격 대미지가 100% 증가됩니다.
■ 격투가
‘충격파’ 패시브 스킬에 ‘#강타’ 태그가 추가됩니다.
연속기 스킬과 콤보 스킬의 발동 제한 시간이 5 → 10초로 증가됩니다.
‘차징 피스트’ 단계별 차징 대미지가 150% 증가됩니다.
‘차징 피스트’에 ‘장신구: 충돌’ 적용 시 단계별 차징 대미지가 150% 증가됩니다.
‘차징 피스트’에 ‘장신구: 충돌’ 적용 시 충격파가 범위 피해를 주면서 적을 밀쳐내지 않도록 변경됩니다.
‘스크류 어퍼’ 대미지가 50% 증가됩니다.
‘스러스트 킥’ 대미지가 50% 증가됩니다.
‘스러스트 킥’에 ‘장신구: 전진’ 적용 시 대미지가 50% 증가됩니다. – ‘스톰프 킥’에 ‘장신구: 도약’ 적용 시 대미지와 브레이크 대상 대미지가 50% 증가됩니다.
‘스톰프 킥’ 브레이크 시 추가 대미지 효과가 정상 적용되지 않던 현상이 수정됩니다.
‘스톰프 킥’ 브레이크 시 추가 대미지의 세부 수치 표기 방식이 변경됩니다.
‘버스트 펀치’ 대미지와 3타겟 대미지가 30% 증가됩니다.
‘버스트 펀치’ 사거리가 1.65 → 3m로 변경됩니다.
‘버스트 펀치’ 1격과 2격 스킬 범위 반경이 1.5 → 3m로 변경됩니다.
‘버스트 펀치’에 ‘장신구: 격파’ 적용 시, 대미지와 3타겟 대미지, 1타겟 대미지가 30% 증가됩니다.
‘버스트 펀치’에 ‘장신구: 격파’ 적용 시, 사거리가 1.65 → 3m로 변경됩니다.
‘버스트 펀치’에 ‘장신구: 격파’ 적용 시, 1격과 2격 스킬 범위 반경이 1.5 → 3m로 변경됩니다.
‘응급처치’ 패시브 스킬의 체력 회복량이 공격력의 15 → 20%로 변경됩니다.
‘충격파’ 패시브 스킬이 여러 타겟에게 중복 발동하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
■ 듀얼 블레이드
‘파이널 히트’ 연속 타격 대미지가 50% 증가됩니다.
‘파이널 히트’ 마지막 타격 대미지가 50% 증가됩니다
전반적으로 상향이지만 방향성이 다소 모호한 내용도 눈에 띈다. 예를 들어 전격술사, 검술사와 함께 하향된 음유시인의 경우 자체 연주 대미지를 줄이는 동시에 잘 쓰이지 않던 지원형 룬의 대미지를 상향했다.
현재 가장 많은 ‘딜 음유’ 메타를 견제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의도와 달리 스킬 자체의 지원 성능은 변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딜 음유 메타의 지속 여부는 시즌1 룬에 의해 결정될 전망이다.
관련해서 넥슨은 “이번 시즌 1 룬 등급 확장과 함께 진행되는 밸런스 조정은 클래스 개성과 전투 재미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피드백 반영과 업데이트를 통해 마비노기 모바일만의 전략적인 전투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