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은 노년층의 보행과 일상생활을 개선하는 효과가 크다. 그러나 사용 기간이 길어지면 부품이 느슨해지면서 마모·감염 문제가 발생해 재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인공관절 수술은 손상된 연골과 뼈를 제거하고 인공으로 만든 특수 금속·보형물로 대체해 통증을 줄이고 움직임을 회복시키는 수술이다. 수술 후 일정 기간의 통증과 불편감은 자연스러운 회복 과정이다. 보통 수술 후 2~3주 동안 통증이 가장 심하고, 6주 전후부터 통증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 3개월 정도면 일상 동작이 가능해지고, 6개월~1년 사이에 관절이 가장 자연스럽고 안정된 느낌으로 회복된다. 이 시기에는 진통제·냉·온찜질이나 주사, 물리·재활 치료를 통해 통증과 기능을 조절하며 적응 기간을 거친다.
반대로 회복기를 지나 새롭게 나타나거나 점점 악화하는 통증은 재수술 경고 신호일 수 있다. 특히 ▶밤마다 통증이 심하고 휴식 시에도 통증이 계속될 때 ▶무릎 흔들림과 보행 시 힘 풀림 증상이 있을 때 ▶무릎이 잘 굽혀지지 않거나 펴지지 않고, 걸리는 느낌의 ‘잠김 증상’이 있으며 가동 범위가 줄었을 때 ▶수술 부위가 다시 붓고 열감·발적이 발생했을 때 ▶다리 모양이 O자·X자로 변형됐을 때가 대표적이다. 연세스타병원 정형외과 권오룡 원장은 “인공관절 수술 후 무릎이 흔들리거나 붓고, 밤에 통증이 심해지면 ‘좀 더 지켜보자’라고 미루지 말고, 바로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런 증상이 있다고 모두 재수술하는 건 아니다. 재수술은 ▶감염이 확진된 경우 ▶부품의 느슨해짐·파손이 영상 검사에서 확인된 경우 ▶불안정성이 심하고 인대 균형이 붕괴된 경우 ▶심각한 구축·잠김이 보존적 치료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 ▶인공관절 주위 골절 등 객관적인 검사에서 원인이 명확히 확인된 상황에서 권고된다. 의사는 증상이나 검사 결과, 치료 반응을 종합하고 환자의 나이·전신 질환 유무·수술 위험도를 함께 평가해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권 원장은 “인공관절은 수술 후 적응기를 지나면 대부분 자신의 무릎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 관절염 예방과 인공관절 관리의 원칙은 크게 다르지 않다”며 “체중·운동·정기검진 같은 기본만 지켜도 평균 15~20년 이상 사용이 가능하다. 작은 신호를 놓치지 않는 습관이 건강한 관절 생활의 출발점이다”고 강조했다.
※인공관절 수명 늘리기 위한 관리법
1. 체중 관리하기
체중이 5㎏만 늘어도 무릎에 실리는 하중은 수배로 증가한다. 반대로 체중을 줄이면 그만큼 관절 수명이 늘어난다.
2. 저충격 운동하기
수영·실내자전거·평지 걷기 같은 저충격 운동은 관절 회복에 도움되고, 무릎 꿇기·양반다리·쪼그려 앉기처럼 무릎을 깊게 구부리는 자세는 피한다.
3. 감염 예방하기
다른 진료나 시술을 받을 땐 반드시 정형외과에 알리고, 상처나 감염이 생기면 지체 없이 치료한다.
4. 정기 검진하기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매년 또는 2년에 한 번 X선 검사와 혈액 검사로 부품의 위치·마모·감염 여부를 점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