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상처 부위가 너무 아프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일 가능성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 만큼 강한 통증을 유발한다. [출처: Gettyimagesbank]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 만큼 강한 통증을 유발한다. [출처: Gettyimagesbank]


작은 상처나 외상에도 극심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의심해봐야 할 질환이 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다. 이 질환은 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발생한다. 염좌나 골절처럼 가벼운 외상은 물론 뇌졸중, 척수 손상, 심근경색 등 심각한 손상 후에도 생길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손상 부위에 과도한 통증이 장기간 이어진다는 점이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 만큼 강한 통증을 유발한다. 주요 증상은 ▶자극이 없어도 통증이 나타나는 ‘자발통’ ▶옷깃만 스쳐도 심한 통증이 느껴지는 ‘이질통’ ▶통증이 과도하게 증폭되는 ‘감각 과민’ 등이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이미순 교수는 “이 밖에도 피부 온도·색 변화, 발한 이상, 부종 같은 자율신경계 이상, 근력 저하와 관절 운동 제한 등 운동신경계 기능 장애가 함께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인 복잡하고 진단 어려워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한 가지 원인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손상된 신경의 과흥분, 교감신경계의 과도한 작동, 장기간 이어지는 염증 반응, 뇌의 비정상적인 통증 기억 형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원인은 다양하고 환자별 차이도 커 진단이 어렵다. 특히 말초신경병증, 류마티스 관절염, 섬유근육통 등과 증상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다. 


확정 진단을 내릴 수 있는 단일 검사법은 없다. 환자의 증상과 경과를 종합적으로 살피고, 여러 보조 검사를 통해 다른 질환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진단한다. 발병 후 6개월 이내 치료를 시작해야 예후가 좋다. 이 교수는 “치료가 늦어지면 뇌의 통증 회로가 굳어지고 관절 강직, 골다공증 같은 구조적 변화가 생겨 회복이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보이지 않는 아픔 이해해야


치료할 땐 약물치료 외에도 신경차단술, 물리치료, 재활치료, 심리치료 등이 함께 이뤄진다. 난치성 통증의 경우 척수신경자극술을 활용하기도 한다. 환자의 약 70~75%는 치료를 통해 증상이 호전되지만, 25~30%는 장기적인 통증이나 기능 저하가 남을 수 있다. 완전한 통증 소실은 어렵다. 꾸준한 치료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수준까지 회복하는 게 현실적인 치료 목표다.


환자가 통증만큼 견디기 힘든 건 주변의 오해다. 외관상 특별한 이상이 없다 보니 예민하거나 정신적인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편견에 시달리는 경우가 있다. 이는 환자에게 더 큰 스트레스와 심리적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교수는 “환자에겐 질환에 대한 정확한 설명과 공감,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며 “의료진은 단순한 통증 치료를 넘어 환자의 재활과 삶의 질까지 고려한 통합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영경 기자 shin.youngkyu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