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영 PD 수장 ‘대중문화교류위’ 넥슨-크래프톤-스마일게이트 참여

박진영 PD가 넷마블 광고에 출연했을 때 모습. 

 

이재명 정부가 ‘케이-컬처’ 300조 원 달성과 문화강국 실현을 위해 첫발을 뗐다.

대통령 소속 대중문화교류위원회(공동위원장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최휘영 장관/제이와이피(JYP)엔터테인먼트 박진영 대표 프로듀서)가 지난 10월 1일 출범했다..  

대중문화교류위원회(이하 위원회)는 대중문화교류 정책의 국가적 비전을 수립하고 민관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우리나라 대중문화의 지속적인 확산을 도모하고 문화강국을 구현하기 위해 설립되는 대통령 소속의 자문위원회이다. 

그 설치 및 운영을 위한 규정(「대중문화교류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이하 규정)이 지난 9월 2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 2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 정부 10개부처-민간 7개 분야, 대중문화산업 각 분야 핵심 인사들로 구성

위원회의 위원장은 지난 9월 9일 대통령실에서 발표한 문체부 최휘영 장관과 제이와이피(JYP)엔터테인먼트 박진영 대표 프로듀서다. 

정부위원은 10개 관계부처인 ▴문체부, ▴기재부, ▴과기부, ▴외교부, ▴법무부, ▴행안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중기부 차관과 대통령실 사회수석으로 구성하며, 민간위원은 7개 분과 ▴대중음악, ▴게임, ▴웹툰·애니, ▴영화·영상, ▴라이프스타일(푸드, 뷰티), ▴투자, ▴정책 에서 26명을 위촉했다. 

위원회가 민관협업체계로 빠르게 변화하는 국제 환경에 대응, 민간의 전문성을 활용하기 위해 설립된 만큼 위원들은 전 세계에서 활약하고 있는 대중문화산업의 각 분야 핵심 인사들로 구성했다.


위원회 근거 규정에 따르면 위원회의 정원은 50인이며, 현재 구성된 인원은 39인이다. 향후 위원회가 다양한 대중문화산업 및 연관산업 분야를 더욱 폭넓고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도록 필요시 위원회 구성을 넓혀 나갈 계획이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지난 1일 박진영에 대해 “K팝을 가장 먼저 미국 시장에 진출시킨 인물로,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적 위상 제고에 기여할 적임자”라고 소개했다.

■ 문화예술 현장 목소리 담아낼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 운영 

아울러 문체부는 대중문화교류위원회와 함께 문화예술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충실히 담아내기 위해 문체부 장관 직속으로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를 새롭게 구성·운영한다.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는 ▴연극·뮤지컬, ▴클래식·국악·무용, ▴문학, ▴미술, ▴대중음악, ▴영화·영상, ▴게임, ▴웹툰·애니메이션, ▴출판·웹소설 등 9개 분야에서 업계·협회·학계 전문가 약 90명으로 구성하고, 10월에 위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각 분야의 다양한 의견과 정책 제안을 정기적으로 논의해 분야별 발전 방안은 물론, 문화예술 생태계 전체의 단단한 토대를 구축하고 문화강국 비전 실현을 위한 정책적 제언까지 수렴할 예정이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사진=문화체육관광부

문체부 최휘영 장관은 “대중문화교류위원회와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는 ‘케이-컬처’ 300조 원 달성과 문화강국 실현을 위한 양 날개이다. 두 위원회를 통해 소외되는 현장 없이 문화예술 전반에 대한 정책적인 자문과 소통을 이어나갈 것”이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