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해야 해.”
이 한마디가 청소년의 마음 속에 자리잡는 순간 정신과 신체 모두가 병들기 시작한다. 외모에 대한 집착이 커지고, 결국 먹는 것조차 두려워지는 섭식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4년 섭식장애 중 하나인 거식증으로 진료받은 환자의 절반이 10~19세 청소년이었다. 성별로 보면 여성 환자가 1만1885명으로 남성(2525명)보다 4배 이상 많았다.
섭식장애는 음식 섭취 행동에 이상이 생기는 정신 건강 질환이다. 체중이 표준의 80% 이하로 떨어지거나 체질량지수(BMI)가 17 이하라면 섭식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대식증이 있다. 음식을 극단적으로 제한해 체중이 급감하는 게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다. 대식증은 반복적인 폭식 후 구토나 설사약, 이뇨제 남용 등으로 이어져 신체에 큰 부담을 준다.
청소년기는 신체적 변화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불안정한 시기다. 외모에 대한 집착, 또래 관계에서의 스트레스, SNS와 미디어의 영향 등 다양한 요인이 섭식장애 발생 위험을 높인다. 섭식장애는 단순한 식습관 문제가 아니다. 자존감 저하,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와도 깊이 얽혀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수진 교수는 “섭식장애는 조기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우울증, 불안 장애, 심하면 자살 위험까지 높아질 수 있다”며 “청소년 스스로도 자신의 감정과 신체 변화를 살피고, 변화가 나타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영경 기자 shin.youngkyu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