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신작 익스트랙션 ‘아크 레이더스’를 플레이하다 보면 보관함이 온갖 아이템으로 가득차 머리 아프기 일쑤다. 보관함이 차면 파밍한 아이템을 넣을 수 없고 무료 로드아웃을 출발하지도 못하니 빨리 비워야 한다.
하지만 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신규 유저일수록 보관함에서 어떤 아이템을 비워야할지 고민이 많을 수밖에 없다. 보관함 칸을 무한정 확장하기에도 너무 비싸다.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보관함을 관리하는 방법도 어느 정도 익혀야 한다.
① 꼬꼬가 생산하는 재료는 주기적으로 상위 아이템으로 교환할 것
꼬꼬가 생산하는 아이템들을 계속 모으다 보면 보관함의 자리를 정말 많이 차지하게 된다. 베이스 아이템인 만큼 쓸 곳도 많지만, 그만큼 수급량도 많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 쌓이게 되면 아끼지 말고 작업장 ‘가공기’에서 ‘기계 부품’, ‘전기 부품’, ‘질긴 천’ 등으로 교환하자. ‘잡다한 씨앗’은 상인 ‘셀레스테’에게 물품 교환에 쓰이니 필요할 때 우선적으로 소비하는 걸 추천한다.
② 잡화 태그가 붙은 아이템은 판매할 것
파밍을 하다 보면 아이템 태그에 ‘잡화’가 붙어 있는 아이템을 찾아볼 수 있다. 잡화 태그는 대체적으로 고가로 팔아서 코인을 모으라고 설계된 종류의 아이템이다. 보관함에 자리 차지하게 두지 말고 그때 그때 팔아서 코인벌이용으로 사용하자.
③ 총기 파츠는 끼워서 보관할 것
퀘스트 보상을 포함해 여러 무기 파츠들이 자연스레 보관함에 쌓이기 마련이다. 파츠 하나가 보관함 자리를 하나씩 차지하는 만큼 다 꺼내놓고 살다보면 금방 여유 공간이 부족해진다. 이때 모아놓은 총기에 파츠를 부착해 보관하면 자리를 아낄 수 있다.
④ 탄약은 쓸만큼 남기고 팔 것
플레이하다 보면 탄약은 쌓이기 마련이다. 탈출해 실패해 계속 잃더라도 말이다. 제작으로 쉽게 만들 수 있고, 필드드랍도 많아서 굳이 아껴놓을 필요도 없다. 아크 레이더스는 타르코프와 달리 탄약의 밸류가 나뉘어 있는 게 아닌, 각 탄종 별로 고정이기 때문에 쌓아놓을 이유가 없다. 쓸 만큼만 남기고 파는 게 낫다.
⑤ 초록색(고급) 증강물은 판매할 것
자리가 부족하다면 초록색 증강물은 판매하는 게 좋다. 초록색 증강물은 거지런으로 얻는 ‘무료 로드아웃’ 1개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수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굳이 모아놓을 만큼 가치가 있는 아이템은 아니다.
⑥ 장비를 신주단지 모시듯 아껴놓지 말 것
장비를 너무 아끼진 말자. 아크 레이더스는 여타 익스트랙션 게임과 달리 파산할 걱정이 없다. 알거지가 되어도 꼬꼬와 무료 로드아웃이라는 최소한의 안전 장치가 있기 때문이다. 잃는다는 걱정이 앞서 장비를 모아놓지 말고, 가끔은 풀세팅을 맞춰 나가 아크 레이더스라는 게임을 즐겨보는 게 좋다. 어차피 모아놓는다고 해도 언젠가 잃는게 익스트랙션이다.
⑦ 주기적으로 아이템의 사용처를 검색할 것
“언젠간 쓸 수 있으니까”하는 마음이 보관함을 어지럽히는 가장 큰 원인이다. 이런 마음을 갖고 다람쥐가 겨울나기 준비하듯이 모아놓으면 결국 당장 필요한 아이템을 모아놓기 어렵게 된다. 아크레이더스 위키 등에 아이템을 검색해 어디에, 언제 쓰이는지 확인하고 당장에 필요한게 아니라면, 엄청 희귀한 게 아니라면 그냥 판매하거나 분해하도록 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