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금시세] 금값 상승…안전자산 수요에 주목

오늘 금시세 한국금거래소

한국금거래소가 2025년 11월 12일 발표한 금 시세에 따르면 순금(24K·3.75g)의 가격은 862,000원으로 전일 대비 0.12% 하락했으며, 가격은 733,000원으로 1.77% 상승했다. 금 시세는 매도 기준 538,800원으로 전일 대비 9,600원(1.78%) 상승했고, 금 시세는 매도 기준 417,900원으로 7,500원(1.79%) 올라 상승 흐름이 나타났다. 백금 시세는 매도가 321,000원으로 1,000원(0.31%) 올랐고 매입가 264,000원 역시 1,000원(0.38%) 상승을 보였다. 은(3.75g)은 매도가 11,650원으로 110원(0.94%) 올랐고 매입가는 8,440원으로 80원(0.95%) 상승했다.

금매입닷컴에서는 24K 금(3.75g)의 매입가 750,000원, 매도가 723,700원으로 나타났다. GBK금거래소의 같은 날짜 기준 시세는 24K 금 매입가 780,420원, 매도가 743,610원이다.

국제표준금거래소 기준으로 18K 금 시세는 매입가 539,800원, 14K 금값 시세는는 매입가 418,900원이며, 백금은 매입가 264,000원, 매도가 321,000원이다. 은은 매입가 8,440원, 매도가 11,650원으로 동일하다.

스마일금거래소에서는 18K 금 시세는 매도가 541,200원, 14K 금값 시세는 매도가 419,600원으로 나타났으며, 백금은 매입가 260,000원, 매도가 262,000원 수준이다. 은은 매입가 10,300원, 매도가 8,100원으로 확인됐다.

국제 시장에서 금 시세는 온스당 약 4,131.46달러~4,133.66달러 수준이었다. 이는 전일 대비 소폭 변동에 머물렀다. 매매기준가 고시시간 기준으로 국제 기준시세는 4,134.64달러였다. 국내 시세는 전년 동월동일 대비 약 347,000원(67.38%) 상승한 상태였다.

이번 금값 상승 흐름은 여러 거시적·정책적·수급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우선 거시경제 측면에서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이 금의 가격을 밀어올렸다. 특히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장에 내비치면서 실질금리(명목금리에서 인플레이션을 뺀 수치)가 낮아질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다. 실질금리가 낮아질 경우 금이 제공하는 무이자 자산으로서의 손실 기회비용이 줄어들어 금 보유 매력이 높아진다. 동시에 인플레이션 기대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황에서 금은 물가 상승을 대비한 헤지 수단으로 인식되며 수요가 증가했다. 역사적으로도 금값은 인플레이션 상승과 실질금리 하락이 맞물릴 때 강세를 보여왔다.

한국금거래소가 11일 발표한 금 시세에 따르면 순금(24K, 3.75g) 매입가는 824,000원으로 전일 대비 0.12% 상승했으며 매도가 713,000원으로 0.42% 올랐다. 18K 금 시세는 매입가 524,100원으로 0.42% 상승했고 14K 금값 시세는 매입가 406,500원으로 0.44% 올랐다. 백금(3.75g)은 매입가 312,000원으로 0.64% 상승했고 매도가 256,000원으로 0.39% 상승했다. 은(3.75g)은 매입가 10,930원으로 0.09% 오름세를 보였고 매도가는 7,910원으로 변동이 없었다. 

국제 금 시세는 온스당 약 3,998.63~4,001.63달러 범위에 형성됐다.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하는 생활정보 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