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이블베인 “손맛 하나로 기대되는 게임은 오랜만이네”

프로젝트 이블베인 (사진=넷마블 제공)
프로젝트 이블베인 (사진=넷마블 제공)

넷마블 ‘프로젝트: 이블베인(이하 이블베인)’은 묵직한 손맛의 액션이 매력적인 게임으로 정식 출시가 기대되는 게임이다. 

이블베인은 다크판타지 세계관 기반의 PC·콘솔 협동 액션 게임이다. 지스타 2025 시연회에서는 솔로 모드와 4인이 함께 영토를 수복하는 협동 모드를 체험할 수 있었다. 

실시간 무기 교체를 액션의 핵심으로 내세웠다. 이블베인에는 근거리와 원거리 무기가 존재하고, 상황에 따라 이를 자유롭게 교체해 전투를 할 수 있다. 스왑으로 포지셔닝을 비롯해 다양한 전투 양상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조작에 풍미를 더한다. 

근거리 무기는 대검과 한손검, 원거리 무기는 확산궁과 석궁으로 구성된다 (사진=넷마블 제공)
근거리 무기는 대검과 한손검, 원거리 무기는 확산궁과 석궁으로 구성된다 (사진=넷마블 제공)

또한, 총 네 개의 ‘헤븐스톤’ 스킬이 존재한다. 각 버프는 여러 난관을 타개할 수 있는 강력한 효과가 존재한다. 지역 장악 능력이 뛰어난 광역 공격 스킬부터 배리어 등의 버프, 회복, 소환 등의 스킬이 있다.

효과가 강력한 대신 스킬 쿨타임은 상당히 긴 편에 속한다. 즉, 스킬을 위주로 전투하는 게임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블베인이 지향하는 액션의 양상은 기본 공격과 회피, 반격 등을 중심으로 원초적인 전투인 셈이다.

회피나 반격, 그리고 공격 등과 연계되는 QTE 기술이 존재해 냉병기 특유의 답답하고 느린 모션을 가렸다. 액션에 생동감을 더하는 하나의 장치인 셈이다. 스킬 쿨타임은 느려도 실제로 키보드를 피아노 두드리듯 누르게 된다. 

QTE 기술로 액션에 생동감을 더해져 답답한 느낌은 전혀 없다 (사진=넷마블 제공)
QTE 기술로 액션에 생동감을 더해져 답답한 느낌은 전혀 없다 (사진=넷마블 제공)

시연회에서 가장 마음에 와닿은 부분은 타격감이다. 게임패드의 진동과 맞물려 묵직한 손맛을 자랑했다. 기자의 견해로는 괜찮은 콘텐츠가 준비만 된다면 분명히 대성할 수 있을 것이란 잠재성이 느껴졌다.

액션 게임은 타격감을 비롯한 액션성과 콘텐츠의 퀄리티 2개가 모두 중요하다. 어느 한 쪽이라도 부족하면 유저들은 쉽게 만족하지 않는 장르다. 그런 점에서 이블베인은 적어도 반은 먹고 들어간다는 느낌이 강하다. 그만큼 타격감과 액션성만큼은 훌륭하다.

협동 모드는 4인으로 구성된 ‘킬링 플로어’의 느낌이 강하다. 쏟아지는 좀비가 악마로 바뀌었다고 보면 된다. 또한, 이블베인은 킬링 플로어처럼 팀원 간의 강력한 협동보단 개개인의 역량이 좀 더 우선순위에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준다. 

쿨타임이 긴 만큼 스킬을 언제 어떻게 사용하냐에 따라 게임 양상이 크게 달라진다 (사진=넷마블 제공)
쿨타임이 긴 만큼 스킬을 언제 어떻게 사용하냐에 따라 게임 양상이 크게 달라진다 (사진=넷마블 제공)

물론 최상위 난도의 스테이지로 가면 팀웍이 중요하게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적어도 지스타 2025 시연회에서 체험한 이블베인은 그런 인상이었다. 하지만 단점이라고 말하는 건 아니다. 

오히려 협동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 가볍게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으로 다가온다. 킬링플로어나 최근 유행했던 ‘R.E.P.O’나 ‘PEAK’ 등을 봐도 팀원끼리 함꼐 협동하지만 필수적으로 협동해야 하는 상황은 거의 없다. 

하지만 특정 영역 내 있는 아군에서 배리어를 씌워주거나 회복을 하는 스킬이 있기 때문에 협동이란 키워드가 의미가 없는 건 아니다. 더욱이 불리한 상황을 한 번에 타개하는 광역 공격 스킬의 경우 팀원끼리 한 번에 사용하게 되면 아쉬운 상황이 나올 수 있기에 상호 간의 브리핑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은 보스와의 최종 결전이 존재한다 (사진=넷마블 제공)
마지막은 보스와의 최종 결전이 존재한다 (사진=넷마블 제공)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하는 생활정보 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