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치 큰 괴물 패밀리카”…럭셔리로 무장한 초대형 SUV 정체

네비게이터. [사진=링컨]

국내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대형 SUV 시장에 뜻밖의 신호가 들어왔다. 에너지공단 시스템에 링컨 네비게이터의 모델 정보가 등록되며 출시 일정이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이다.

네비게이터. [사진=링컨]
네비게이터. [사진=링컨]

준비 상황으로 볼 때 국내 도로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시점은 올해 말이나 내년 초가 유력하다.

이 모델의 등장은 단순한 세대 반복이 아니다. 제네시스 GV90이 등장하기 직전이라는 지점에서 네비게이터의 움직임은 한층 더 전략적으로 읽힌다.

새로운 네비게이터가 주목받는 이유는 실내 구조가 기존과 완전히 다르게 설계됐기 때문이다. 대시보드 전체를 가로지르는 48인치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한눈에 들어오는 존재감을 가진다.

네비게이터. [사진=링컨]
네비게이터. [사진=링컨]

대형 패널 하나에 주행 정보와 인포테인먼트 기능이 통합됐고 그 아래에는 11.1인치 터치 패널이 따로 배치돼 공조 기능과 주행 세팅을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실내 소재도 고급화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리얼 우드와 가죽이 넓은 면적을 채우며 1열부터 3열까지 모든 좌석에 열선 기능이 기본으로 들어간다.

음향 품질은 더욱 과감하게 손봤다. 28개 스피커로 구성된 레벨 울티마 3D 사운드 시스템이 실내 곳곳을 채우며 대형 SUV 특유의 공간감을 정교하게 구현한다.

밤에는 실내를 감싸는 앰비언트 라이트가 켜져 프리미엄 SUV의 분위기를 완성한다.

동력계는 V6 3.5리터 트윈터보 엔진을 중심으로 구성됐고 변속기는 10단 자동, 여기에 전자식 사륜구동 시스템이 결합됐다. 출력은 446마력 토크는 70.5kg.m으로 동급 상위권 수준이다.

네비게이터. [사진=링컨]
네비게이터. [사진=링컨]

배기량은 에스컬레이드보다 낮지만 주요 성능 지표는 오히려 네비게이터 쪽이 높게 나타난다. 정숙성과 가속 능력 모두 기대해볼 만한 수치다.

공인 복합연비는 6.8km/L이며 공차중량은 2765kg이다. 체급을 감안하면 효율과 무게 감각은 평범한 수준이다.

외관은 최신 링컨 스타일을 적극 반영해 전면부가 넓게 보이는 방향으로 재정비됐다. 헤드램프와 그릴이 하나의 흐름처럼 이어져 안정적인 인상을 만든다.

네비게이터. [사진=링컨]
네비게이터. [사진=링컨]

후면은 상하 분리되는 클램셸 테일게이트가 적용돼 짐을 실을 때 편의성이 한층 좋아졌고 전장 5334mm 휠베이스 3110mm의 비율은 기존 모델과 동일하다.

북미에서 블랙 라벨 트림 가격대가 높게 책정된 만큼 국내 판매가는 1억 중반대로 점쳐진다. GV90 출시를 앞둔 상황에서 네비게이터가 먼저 움직임을 보이며 대형 SUV 시장에 새로운 긴장감을 불어넣고 있다.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하는 생활정보 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