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무겁고 쥐 자주 나며 혈관이 울퉁불퉁? ‘하지정맥류’ 경고 


하지정맥류는 정맥의 판막이란 구조의 기능 이상으로 혈액순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다.

하지정맥류는 정맥의 판막이란 구조의 기능 이상으로 혈액순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다.


최근 다리 피부 위로 푸르거나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온 혈관 혹은 운동 후 다리가 무겁고 쥐가 나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이는 단순히 근육통과 겉모습의 문제가 아닌 하지정맥류일 수 있다. 대전선병원 혈관외과 윤병준 전문의의 도움말로 하지정맥류의 주요 증상과 치료 방법을 알아봤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의 정맥혈관이 확장되고 피부 밖으로 튀어나오는 질환으로 최근에는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몸의 혈관은 크게 동맥, 모세혈관, 정맥으로 나눌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하지정맥 질환은 다리의 정맥에서 일어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만성적으로 정맥의 기능이 떨어져 발생하는 만성 정맥기능부전이란 말과 혼용해 사용하기도 한다.


심장에서 다리로 간 혈액은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면서 혈액순환이 이뤄지는데, 정맥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 다리로 간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잘 올라오지 못하고 다리 정맥혈관에 정체되면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다리 부종, 쥐가 나거나 저림, 시린 느낌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불편감 심하면 수술 혹은 시술 치료 필요


흔히 주변에서 들어본 하지정맥류는 정맥의 판막이란 구조의 기능 이상으로 이런 혈액순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다. 다리의 혈액이 순환하기 위해선 적절한 다리 근육의 긴장과 움직임, 정맥 판막의 정상적인 기능, 정맥의 탄력성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정맥류와 만성 정맥기능부전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흔하게는 ▶다리가 무겁거나 터질 것 같은 경우 ▶이런 증상이 오후에 심해지고 자고 일어나면 괜찮아지는 경우 ▶쥐가 자주 나는 경우 ▶혈관이 튀어나온 경우가 대표적이다. 조금 드물게는 ▶무릎 아래로 다리가 너무 차거나 ▶거꾸로 발바닥이 불덩이처럼 뜨거운 경우 ▶무릎이나 발목 관절이 시리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다리에 피부가 검게 착색되거나 다리 상처가 잘 낫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하지정맥류는 초음파에서 명확하게 0.5에서 1초 이상의 역류가 확인되면 진단할 수 있고 관련한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 수술이나 시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엔 비교적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고, 통증이 적은 3세대 치료가 늘어나는 추세다. 그렇다고 해서 1세대나 2세대 치료법이 결코 문제가 있거나 열등한 치료로 보기도 어렵다. 환자의 연령과 혈관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결정하면 된다.


※하지 정맥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1. 압박스타킹 착용

장시간 서서 혹은 앉아서 일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많이 드는 직업을 가진 사람은 압박스타킹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2. 근력 운동

규칙적인 근력 운동으로 하체 근육을 단련하고, 균형 잡힌 영양으로 본래의 근육을 잘 유지한다.


3. 체중 조절 

체중 관리와 올바른 자세로 혈액이 잘 순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4. 약물치료

필요하다면 혈액순환제의 도움을 받아 만성적인 정맥의 부하를 줄여주는 것도 방법이다.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하는 생활정보 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