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D ‘소드 오브 콘발라리아’는 지난 2024년 출시된 SRPG 게임이다. 하지만 모바일 기반의 수집형 게임과는 차별점이 뚜렷하다. 바로 ‘고전’ SRPG를 표방한다는 점이다. 고전의 맛과 향을 간직한 채 현대적인 터치를 가미한 근래 맛보기 어려운 게임이다.
SRPG는 특히나 고전을 강조하는 게임들이 많다. ‘옥토패스 트래블러’ 시리즈나 ‘씨 오브 스타즈’ 등 최근 SRPG 장르 명작에 오른 게임 대부분 고전성을 강조한다. 해당 장르의 주 소비층이 그 시절 ‘파이널 판타지’나 ‘드래곤 퀘스트’ 등에 대한 향수가 짙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물론 ‘붕괴 스타레일’, ‘소녀전선2: 망명’ 등 화려하고 스타일리쉬한 서브컬처 SRPG 게임이 많다. 모두 재밌는 게임이다. 하지만 그 때의 향수를 그리워하는 유저들을 만족시키기에는 어딘가 허전한 감도 있다.
물론 모바일 기반의 ‘캐릭터 뽑기’를 핵심 BM으로 내세운 수집형 게임이라는 점에서 그 시절 감성을 100% 완벽하게 재현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수집형 게임 내에서 고전 SRPG 장르의 게임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떄 그 시절 고전 SRPG 감성이 그리운 게이머라면 위쳐 컬래버레이션 이벤트와 함께 풍성한 이벤트가 시작되는 지금 한 번쯤 해보는 걸 추천한다.
■ 전략성에 충실한 그때 그 시절 감성의 고전 SRPG
최근 SRPG 장르 트렌드는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처럼 실시간 요소를 도입해 즉각적인 컨트롤을 요구하거나, ‘붕괴: 스타레일’처럼 스타일리쉬하면서도 빠른 전개 속도를 보인다. 하지만 소드 오브 콘발라리아는 고전에 가까운 형태를 보인다.
그런 점에서 고전 SRPG 게임에 추억과 향수가 있는 게이머라면 시작하기 좋은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게임 구성을 비롯한 도트 기반의 그래픽까지 그 시절 옛날 느낌이 물씬 풍기는 게임이다.
소드 오브 콘발라리아의 배틀 시스템은 고전 SRPG인 ‘오거 배틀 사가’의 영향이 크다. 대표적으로 고저차를 활용한 전략 활용이 있다. 더 나아가 넓게 보면 체스식 격자 모양의 지형 위에서 진행되는 묘수풀이다.
가령, 적을 낭떠러지 절벽으로 걷어 차버리는 등 독특한 전략 전술을 구사할 수 있다. 필드 내 있는 오브젝트 활용도 매력을 더한다. 화약통을 폭발시켜 주변 적에게 광역 공격을 하거나, 바위를 굴려 적을 뭉개는 등 다양한 전략을 제공한다.
지형의 고저차 등은 실제 전투와 마찬가지로 진영 간의 유불리에 영향을 끼치는 대목이다. 맵의 지형을 확인하고 파티를 구성할 때 참고해야 한다. 고저차에 돌진기가 막히는 등 특정 캐릭터는 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앞선 예시의 전략들은 무지성으로 사용하는 게 권장되는 것도 아니다. 화약통이나 돌 굴리기와 같은 전략은 범위 내, 혹은 경로 내 있는 아군도 피해를 입는 탓이다. 체스식 전투답게 캐릭터 포지셔닝도 전술 운용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아군과 적의 턴이 각각 나뉜 여타 모바일 기반의 SRPG와 다르게 소드 오브 콘발라리아는 각 캐릭터의 속도에 따라 턴이 오는 순서가 정해져 있다. 누가 언제, 그리고 어떻게 움직일지 고민하며 수를 계산하는 재미도 게임의 큰 매력이다. 종합적으로 고전 SRPG 특유의 감성과 전략ㆍ전술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게임이다.
■ 서브컬처 특유의 이야기 전개는 물론 고전 SRPG식 문법도 따른다
소드 오브 콘발라리는 수집형 RPG 문법을 따르되 고전 SRPG 특유의 콘텐츠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했다. 대표적인 예시가 ‘운명의 소용돌이’라는 콘텐츠로 고전 SRPG의 문법에 가장 근접해 있는 콘텐츠다. 여타 수집형 RPG와 마찬가지로 여러 재화 수급 콘텐츠 역시 존재한다.
소드 오브 콘발라리아는 고전 SRPG를 표방하지만, 근간 자체는 모바일 RPG의 문법을 따른다. 고전스러운 시스템과 충돌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모바일 기반의 수집형 RPG의 플레이 루틴과 고전 SPRG식 루틴은 조화롭게 녹아들지 않는다. 그래서 운명의 소용돌이라는 다양한 여정을 통해 게임의 내러티브와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선보인다.
무과금 플레이가 가능한 콘텐츠로 패키지 게임 방식와 동일하다. 마을과 용병단을 육성하며 별도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구성이다. 고전 콘솔의 감성과 흐름을 즐길 수 있는 개발사의 킬링 콘텐츠다.
뽑기 캐릭터의 사용이 일부 제한되고, 레벨과 장비가 초기화되는 등의 제한이 있다. 운영의 소용돌이 에피소드에서 주어지는 캐릭터와 장비를 사용해 파티를 꾸려야 한다. 메인 콘텐츠와 완전히 독립적인 형태로 흘러간다.
수집형 RPG 특유의 다양한 진영 캐릭터의 서사를 동시다발적으로 전개하는 방식의 단점을 운명의 소용돌이로 보완했다. 소드 오브 콘발라리아의 세계관이나 사이드 스토리를 차분하게 감상하기 적절하다.
고전의 향수를 자극하는 따뜻한 감성의 2.5D 픽셀아트가 소드 오브 콘발라리아만의 내러티브와 만나며 다른 수집형 RPG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경험을 선사한다. 특유의 스타일은 간직한채 섬세한 빛의 활용이나 디테일로 몰입감을 높힌다.
아울러 이번 위쳐 컬래버 이벤트처럼 별도의 이벤트 스토리를 진행하기도 한다. 턴제 게임만의 전략적 재미와 수집형 RPG 특유의 다양한 스토리 감상을 좋아하는 유저라면 소드 오브 콘발라리아는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