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에 찾아온 허리 통증, 디스크 혹은 척추후관절증후군


척추후관절증후군은 후관절에 염증이 생겨 변형이 오는 관절염 질환이다. [출처: Gettyimagesbank]

척추후관절증후군은 후관절에 염증이 생겨 변형이 오는 관절염 질환이다. [출처: Gettyimagesbank]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면서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대부분 허리디스크를 먼저 떠올리지만, 실제론 디스크가 아닌 ‘척추후관절증후군’으로 진단받는 경우도 적지 않다.


척추 후관절은 척추 뒤쪽에 위치한 구조로, 척추의 구부림과 회전을 조절하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부위에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거나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염증이 유발되고 통증이 나타나는데, 이를 ‘척추후관절증후군’이라고 한다. 


갑작스러운 허리 부상, 장기간의 잘못된 자세, 노화에 따른 구조적인 변화 등이 발생 원인으로 꼽힌다. 수원나누리병원 척추센터 피용훈 원장은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근육과 인대가 경직되면서 후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해 통증이 악화하기 쉽다”고 설명했다.


허리디스크와 척추후관절증후군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위치한 추간판이 손상돼 내부의 수핵이 돌출되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주로 허리를 굽힐 때 통증이 두드러진다. 디스크 돌출이 심해지면 척추 신경을 자극해 허리 통증뿐만 아니라 엉덩이, 다리,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하지 방사통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 척추후관절증후군은 후관절에 염증이 생겨 변형이 오는 관절염 질환이다. 목이나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발생하며, 아침에 일어났을 때 통증을 느끼지만 활동을 시작하면 점차 완화한다. 허리디스크와 다르게 방사통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 외에도 잠자리에서 몸을 뒤척이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통증이 심해진다면 척추후관절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 피용훈 원장은 “신경외과 전문의 진단을 통해 치료해야 하며, 이를 방치할 경우 척추가 변형되면서 척추불안정증이나 척추관협착증이 함께 생길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치료는 약물치료, 물리 치료, 도수 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가 기본이다. 증상이 심하거나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이 없을 땐 염증을 줄이고 부기를 완화하기 위한 후관절 주사 치료를 시행한다. 주사 치료는 바늘이 신경에 닿지 않기 때문에 통증이 적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다. 척추후관절증후군 대부분은 수술 없이 보존적인 치료로 완화할 수 있지만, 척추불안정성이나 척추관협착증이 동반된 경우 수술 치료를 고려하는 게 좋다.


날씨가 쌀쌀해지는 시기엔 낮은 기온으로 근육과 인대가 굳어 허리에 부담이 커진다. 기온이 높은 낮 시간대에 가벼운 조깅이나 자전거 등 저강도 운동을 권장하며, 외출 시 허리와 복부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운동 전 스트레칭과 코어 강화 운동을 병행하면 척추 안정성을 높여 부상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된다.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하는 생활정보 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