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비만이 있을수록 요추가 받는 하중이 훨씬 크다. [출처: Gettyimagesbank]](https://i0.wp.com/livingsblog.com/wp-content/uploads/2025/11/31443_33160_2742.jpg?resize=600%2C325)
연말이면 금연·운동·체중 감량이 단골 목표로 등장한다. 하지만 이미 허리 통증을 겪고 있는 중년에게 이 세 가지는 향후 몇 년 뒤 허리 상태를 결정짓는 치료 전략이다. 잘 고치면 앞으로의 통증이 줄어들고 방치하면 허리디스크가 예상보다 빠르게 찾아온다.
복부비만은 보기보다 훨씬 더 공격적인 허리의 적이다. 배가 앞으로 돌출되면 골반과 몸의 중심축이 미세하게 앞쪽으로 밀려나고, 척추는 이를 바로잡기 위해 뒤로 젖혀지는 불균형 자세를 상습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이때 허리디스크는 앉았다 일어나는 사소한 움직임에서도 압박을 견뎌야 한다. 복부와 척추 주변 근육이 지쳐 제 역할을 못 하면 작은 충격에도 디스크가 금가고 미세 파열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연세스타병원 차경호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복부비만이 있을수록 같은 자세라도 요추가 받는 하중이 훨씬 크다. 디스크 손상 위험도 같이 올라간다”고 말했다.
니코틴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그 결과 척추 주변으로 공급돼야 하는 산소·영양이 크게 줄어든다. 디스크는 혈관이 거의 없어 주변 조직의 혈류에 의존하는데 이 공급선이 막히면 디스크는 금방 수분·탄력을 잃고 ‘건조해진 스펀지’처럼 변한다. 퇴행 속도가 빨라지고 통증 감수성도 높아진다.
장시간 앉아 근무하는 직장인에게 비만+흡연 조합이 반복되면 특별한 사고도 없는데 어느 날 갑자기 허리가 ‘툭’ 하고 무너지는 이유다. 허리 통증이 엉덩이나 다리까지 뻗는다면 디스크가 직접 신경을 건드리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시기를 놓치면 치료는 더 어려워지고 회복에도 시간이 오래 걸린다.
약물·주사는 통증 완화에는 도움이 되지만 생활습관이 바뀌지 않으면 통증은 모양만 바꿔 돌아온다. 차경호 원장은 “비수술 치료의 기본은 척추가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는 것이다. 금연과 체중 감량, 규칙적인 운동이 그 조건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