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17:41:54
(세종=뉴스1) 이정현 기자 =

이재명 정부가 현재 49% 수준인 식량자급률을 오는 2030년까지 55.5%로 끌어올릴 계획을 밝혔다. 농산어촌 활성화를 위해 12조 원의 재정도 투입할 계획이다.
대통령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보고대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발표했다.
농정분야 계획에서는 현재 49%(2023년 기준)인 식량자급률을 오는 2030년까지 55.5%로 끌어올린다는 구체적 목표가 제시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확대, 밀·콩 전문 생산단지 확대 및 비축 물량 확대, 국산 밀·콩·가루쌀 활용 식품기업 대상 제품개발·마케팅 패키지 지원 강화, 제분비용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원예 분야에서는 스마트온실·스마트과수원 확대, 재배면적 관리 등 생산 기반 구축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이외에도 농산물 비축사업, 농식품 바우처 사업, 온라인 도매시장 등을 활용해 국내산 농산물 유통·소비 촉진을 꾀하고 있다.
축산분야에서는 축사시설현대화 자금 지원, 스마트축산 확산 사업 등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추진하는 한편, 축종별 자조금 조성 지원을 통해 할인행사, 소비자 홍보 등 소비촉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K-푸드 150억불 수출 달성을 위한 준비도 차질없이 해나간다. 농식품부는 이미 ‘4차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2023~2027년)’을 수립, 오는 2027년까지 식품산업을 현재의 1.7배 수준인 1100조 원 규모로 키우기 위한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선 첨단기술을 활용해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여 간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푸드테크를 활용한 중소식품사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푸드테크 혁신클러스터’ 를 조성할 계획이다. 지역별 특화 분야를 선정해 지역 내 기업, 대학,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연구개발(R&D)을 추진하고, 기술 실증을 진행하게 된다.
농식품부는 농식품 수출 지원을 위해 라면, 배 등 수출 유망품목을 ‘K-브랜드’로 육성하고, 현재 연간 수출액이 1억달러 이상인 품목을 2027년 20개로 9개 더 늘린다.
또 관광객 유치를 위해 미식 관광상품인 ‘K-미식벨트’를 15개 조성하고, 해외 우수 한식당 지정을 확대해 국산 식재료 수출로 연결되도록 한다.
전통식품 산업도 활성화해 김치의 경우 원료 공급 기반을 안정적으로 마련하고 자동화 공정을 개발한다. 나아가 전통주 중에서 명주를 육성해 수출상품으로 키우고, 장류도 소스 산업으로 육성한다.
이 밖에 식품사와 농가의 계약재배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원료 생산단지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국정위는 ‘다시 살아나는 농산어촌’을 비전으로 제시하며 관련 정책에 총 12조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재원은 K-푸드 수출 확대, 식량안보 강화 등 농어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소득재해 안전망 강화, 농어촌 기본소득을 도입하는 등 살고 싶은 농산어촌을 구현하는데 쓰인다.
박수현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장은 “농어촌 기본소득과 ‘K 농산어촌의 꿈’이 무재개처럼 피어오르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발표한 123대 국정과제(안)는 정부의 최종 검토와 국무회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