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 금융사기 예방 체계 고도화…“AI로 24시간 모니터링”


KB국민카드가 금융사기 예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FDS AI 콜봇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최진희 기자]

KB국민카드가 금융사기 예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FDS AI 콜봇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최진희 기자]


[최진희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KB국민카드가 지난해 AI 기반 이상금융거래 탐지 시스템(FDS)을 구축한데 이어, 올해는 FDS에 AI 콜봇까지 도입하며 금융사기 예방 체계를 한층 더 고도화했다.


KB국민카드는 금융사기 예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FDS AI 콜봇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피싱을 비롯한 금융사기 수법이 빠르게 진화하는 상황에서 이상거래 탐지부터 고객 확인까지 전 과정에 AI를 적용했다.


특히 지난 9월부터 FDS AI 콜봇 1차 오픈을 통해 카드실물 거래 기반 국내·해외 이용의 이상 여부를 AI콜봇이 24시간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운영했다. 또 전화 모니터링 미수신 고객에 대한 인바운드 응대까지 AI가 담당하며, 모니터링 요원이 직접 개입하지 않아도 되는 기본 확인 영역을 자동화했다.


이번 11월 정식 오픈에서는 장기카드대출 고객 등 보이스피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최근 발생하는 피해사례를 안내하는 AI콜봇을 적용했다. 사고발생 시 빠른 사후조치를 위해 분실신고 및 재발급, 사고보상 접수로 자동연결 되는 기능을 추가해 대응 범위를 넓혔다.


이번 AI 콜봇 도입은 모니터링 요원의 업무를 단순 대체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사람과 AI콜봇의 역할 분리’를 통해 사고예방 범위를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날 KB국민카드 관계자는 취재진에 “AI 콜봇은 보이스피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피해사례 안내부터 빠른 사후조치 연결까지 실행한다”며 “특히 대량의 일상적 거래를 광범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어 위험 징후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모니터링 요원은 보이스피싱 등 신종 금융사기 피해자 특성인 불안·은폐·가스라이팅 등 감성적 요소를 대화로 해소하며, 복잡하거나 정황 판단이 필요한 고위험 거래를 집중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고객 피해를 심층적으로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KB국민카드는 향후 모델 정교화 및 데이터 학습으로 탐지 정확도를 높이고, AI 콜봇의 활용 범위를 지속 확대하는 등 다양한 금융사기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적 투자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하는 생활정보 전문 기자.